2013. 3. 1.쇠날. 흐림

조회 수 829 추천 수 0 2013.03.09 05:30:34

 

 

아침만 해도 푹하더니 오후 기온 뚝 떨어지며 바람이 꽤 찹니다.

 

한 학회에 참석합니다.

세미나에 쓸 사례가 마침 지난 12월 그 현장에 참관했던 사례여

반가움과 함께 어떤 이야기들이 오갈지 꽤 흥미를 일으켰지요.

영상이 어두워 주로 음성에 의지하며 채록집을 따라들 갔습니다.

한 장애아를 가진 엄마의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미안해, 미안해. 널 죽일라고 그랬지...”

아이를 끌고 물속으로 들어가고

아이를 낭떠러지에서 밀기도 한 사연입니다.

곳곳에서 사람들이 눈이 벌개지고

훌쩍이며 휴지를 뽑아드는 수가 점점 많아졌습니다.

오늘 자리한 적지 않은 수가 실제 그 상담이 일어나던 현장에 있었던 이들인데,

다시 마음이 또 일렁이고 있었습니다.

사례 당사자도 자리하고 있었는데,

그 역시 또 눈물을 쏟아내고 있었지요.

그런데, 어미 심정을 이해하고 자기 경험과 섞여 콧물눈물을 불렀던 물속과 낭떠러지가

사실은 상징이었음이 어느 순간 확인되었습니다.

사실 주의 깊게 듣지 않더라도 처음부터 상징이었음을 명백하게 말하고 있는데도,

세미나 참석자들이 놓치고 있더란 말이지요.

채록된 사례집에도 분명히 그리 쓰여 있고.

헌데도 왜 이런 일들이 일어난 걸까요?

오독!

(물론, 꼭 오독이라고만 말하는 게 다는 아닐 일이지요, 허나...)

듣고 싶은 대로 혹은 짐작대로,

마치 주제를 놓고 그 주제에 아귀 잘 맞춘 것 같은,

그런 과정을 우리 얼마나 여러 곳에서 여러 차례 보는지요.

우리는 얼만큼 자주 진실로부터 멀까,

‘진실’을 알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806 2013. 1.21.달날. 비 옥영경 2013-02-05 828
3805 2013.10.22.불날. 해가 나온 아침이었으나 옥영경 2013-11-21 828
3804 2014. 1.19~20.해~달날. 맑고 이튿날 눈! 옥영경 2014-02-11 828
3803 2016. 4.19.불날. 밤비 / 달골 명상정원 굴삭기 작업 네 번째, 하루 옥영경 2016-05-03 828
3802 2016.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9-18 828
3801 2016.10. 1~3.흙~달날. 비, 비, 그리고 흐림 / 정환샘의 메일과 옥영경 2016-10-10 828
3800 2016.11.15.불날. 달, 하늘의 절반인 듯 옥영경 2016-12-04 828
3799 2016.11.18~19.쇠~흙날. 살포시 젖어있는 땅 / 네 사랑은 옳다! 옥영경 2016-12-05 828
3798 2017. 2. 7.불날. 맑음 / 오랜 농담 하나 옥영경 2017-02-20 828
3797 2017. 5.13~14.흙~해날. 맑음 / 독도법과 옥영경 2017-06-13 828
3796 2019. 6. 4.불날. 맑음 / 광나무 한 차 옥영경 2019-08-03 828
3795 2013. 3.31.해날. 맑음 옥영경 2013-04-11 829
3794 2013. 5.14.불날. 하아, 더운, 그리고 좀 흐려진 오후 옥영경 2013-05-25 829
3793 2013.10.13.해날. 맑음 옥영경 2013-11-02 829
3792 2013.12.14.흙날. 흐림 옥영경 2013-12-27 829
3791 4월 빈들, 2014. 4.19.흙날. 흐림 옥영경 2014-05-21 829
3790 2014.12.22.달날. 아침 눈발 선 하늘 옥영경 2015-01-03 829
3789 2015.11. 1.해날. 흐림 옥영경 2015-11-23 829
3788 2016. 9.12.달날. 갬 / 무슨 놈의 대학 가는 게 그리 어렵대? 옥영경 2016-10-04 829
3787 2017. 9.22~23.쇠~흙날. 맑음 / 서울 강연, 그리고 사람들이 남긴 글 옥영경 2017-10-21 8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