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26.달날. 맑음

조회 수 726 추천 수 0 2013.09.16 13:31:59

 

 

처서 지났으니 풀이야 더 자라겠는지요.

이제 그것들을 깎는 게 가을일이겠습니다.

 

산마을을 나갔다가 돌아오면 학교를 둘러보는 게 먼저이지만

잠시 앉았다 꼭 숲을 건너다보게 됩니다.

나무들을 보며 요새 하는 생각;

둥근 나무이나 거기에도 앞과 뒤가 있습니다.

모두 한 방향을 보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옆모습이 있고 앞모습이 있습니다.

어린 날 그림을 그리며 나무에 눈과 입과 귀를 달아준 적이 있습니다.

그땐 그저 상상화이거니 했지요.

그런데 나무 앞에 서니

정말 나무가 내 쪽도 보고 저쪽도 보고 뒤도 보고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앞과 뒤가 있습니다!

 

집에 안마기를 한 대 들였습니다.

기락샘이 챙겼습니다.

아이가 같이 사는 동안 필요 없던 것입니다.

한 지붕 아래 사람 없으니 젤 아쉬운 게 그거.

홀로 사는 어르신들은 어떠실까,

그찮아도 늘 짠한 마음이 더 애잔해집니다.

안마기 있으니 집이 더욱 어여 돌아오고픈 곳이 되는 듯. 하하.

 

사적인 아주 사적인 이야기.

가끔 저녁답에 듣는 클래식 방송 하나에서

오늘은 프로그램 문을 열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낱말에 대해 말하고 있었습니다.

‘하다’라는 말.

저희 집 아이 이름이 ‘하다’입니다; to do.

어른을 위한 동화를 한 잡지에 두어 해 연재한 적 있는데,

그때 썼던 한 편에 등장했던 이름이었고,

아이가 왔고,

뱃속 아이를 그리 불렀고,

태어나자 그대로 그 아이 이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다 자라는 동안

엄마의 사람됨이 태교이겠거니,

부모의 사람됨이 교육이겠거니 했고,

하여 그저 열심히 살았지요.

헌데 똑바로 걷는 내 걸음을 보느라 보지 못한 아이는

지금 잘 걷고 있는 걸까요...

부모 속이야 뉘 집이라고 다를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486 2013.10.29.불날. 밤 비 몇 방울 옥영경 2013-11-26 727
4485 2015. 6.10.물날. 가끔 구름 옥영경 2015-07-14 727
4484 2015. 9. 2.물날. 비 지났는가 옥영경 2015-09-30 727
4483 2015.11. 5.나무날. 구름조금 옥영경 2015-12-01 727
4482 169계자 이튿날, 2022. 1.10.달날. 맑음 / 비밀번호 0169 [1] 옥영경 2022-01-14 727
4481 2013. 5.19.해날. 비 옥영경 2013-05-27 728
4480 2015. 7.27.달날. 점심께 비 옥영경 2015-08-05 728
4479 2015. 9.26~29.흙~불날. 대개 맑음 옥영경 2015-10-17 728
4478 2016. 1. 1.쇠날. 맑음 / 革命? 위하여! 옥영경 2016-01-03 728
4477 2016. 6. 1.물날. 맑음 옥영경 2016-06-30 728
4476 6월 빈들 닫는 날, 2016. 6.19.해날. 맑음 옥영경 2016-07-13 728
4475 2017.11.22.물날. 흐림 / 위탁교육 사흘째 옥영경 2018-01-09 728
4474 2019. 5.21.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728
4473 2013. 6. 8.흙날. 맑음 옥영경 2013-06-23 729
4472 2013.12. 6.쇠날. 맑음 옥영경 2013-12-25 729
4471 2013.12. 9.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3-12-27 729
4470 2014. 4.23.물날. 맑음 옥영경 2014-05-23 729
4469 2014.10. 5.해날. 잠시 구름 옥영경 2014-10-28 729
4468 2014.10.28.불날. 맑음 옥영경 2014-11-01 729
4467 2014.12.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7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