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모임 ‘섬’을 시작합니다!

조회 수 1353 추천 수 0 2014.04.24 02:43:20



○ 때: 2014년 5월 10일 흙날 낮 2시~5시

○ 곳: 지하철 3호선 안국역(구체적인 공간은 다시 전하기로)

○ 뉘: 중고생 대학일반 누구나 열 댓

○ 참가비: 찻값

○ 책: <왜 세상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갈라파고스)

○ 진행: 김아리

○ 5월의 축: 백서현 이철욱 공연규, 그리고 새끼일꾼 이재호와 류가온


5월부터 달에 한 차례 서울에서 공부모임이 있습니다.

흔히 대학시절 동료들끼리 모여

‘세미나’(‘댓거리’라고 우리말로 이름 붙이기도 한)라 부르며 책 읽고 토론하던 그런 모임.

지난 2월 빈들모임에서 처음 제안되고

4월 빈들모임에서 대략의 선이 잡혔습니다.


‘섬’이라 일컫기로 합니다.

스스로 선다, 스스로 세운다, 먼저 서서 다른 이의 섬도 도운다, 그런 의미.

당연히 바다에 떠있는 섬을 뜻하기도 합니다.

인문학독서모임, 생각하기모임이지요.

(여름과 겨울 계자가 있는 1월과 8월은 어렵겠지요.)


아래는 모임 ‘섬’의 이장 역 아리샘이

지난 2월 빈들모임에서 썼던 갈무리 글의 일부를 옮긴 것입니다.


‘...나는 물꼬가 내적으로 더 단단해지고, 우리 스스로가 혹은 우리를 보는 밖의 누군가가 이 공간에 대한 믿음과 자부심을 갖는 데는 물꼬를 채우는 우리가 참 좋은 사람-된사람이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남에게 내세우기 위한 인문학 공부가 아니라(토론에서 이기기 위함이 아니라) 자기 수련과 명상의 연장선으로 스스로 공부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분위기가 우리 품앗이, 새끼일꾼들에게도 이어지기를 바란다.

이 공간의 유쾌함과 흥이 그저 공중에 붕 떠있는 것이 아니라, 뭔가 단단한 지면에서 솟아오른 느낌이길 바란다.

인문학모임은 ‘자유학교물꼬를 준비하는 모임’에 대한 향수일수도 있고 그저 한 살 한 살 나이 먹어가는 어른의 요즘 젊은이들에 대한 노파심일수도 있다.

하지만 뭔가를 지속할 수 있는 저력은 스스로를 설득할 수 있는 자기 소양, 그릇의 크기인 것 같다.

함께 성장하는 장을 만들고 싶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어른의 학교’-어른 계자가 이러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어른의 학교’를 마치고 돌아가는 어른들의 마음이 더 가벼워지고 더 행복해지기를 바라기도 하지만 뭔가 세상에 대해, 그리고 도시에서의 일상 속에서 놓치고 있는 고민거리를 받아가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다.

물꼬가 지금 이 시대에, 이곳에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미 낡았다고 말하는 문제들을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함께 고민하고, 그래서 좀 다르게 살아보자고 말하기 위함이 아닐까... 너무 진지한가?

진지함이 진부함과 어색함이 된 요즘에 물꼬니까 이러한 것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해가 되었으면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6863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9714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7787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7250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7126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6803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6803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5740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968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6080
887 달골 아이들집 공사사진입니다. image 자유학교물꼬 2005-12-29 2871
886 2005 겨울, 계절 자유학교 안내 file 자유학교물꼬 2005-12-29 2957
885 같이 하지 않으실래요?(1/11-16) 자유학교물꼬 2006-01-02 2958
884 물꼬가 드리는 선물, 두 번째 - 풍물 나흘 특강 물꼬 2006-01-20 2460
883 민들레에 한 요구(민들레 43호를 읽고) file 신상범 2006-03-02 2863
882 2006, 잡지 민들레 건의 끝나지 않은 정리 file 물꼬 2006-04-01 2194
881 물꼬가 실험하는 무상교육 file 신상범 2006-04-03 2407
880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앉은 아이들 - <자유학교물꼬> 두 돌잔치 자유학교물꼬 2006-04-03 2797
879 2006 봄, 백열번째 계절 자유학교 file 물꼬 2006-04-17 2447
878 서울에서 오시는 계절자유학교 참가자에게 자유학교물꼬 2006-04-26 2933
877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물꼬 2006-05-12 2456
876 청주mbc '생방송 전국시대'(5월 5일)에 물꼬 담기다 물꼬 2006-05-15 2818
875 한겨레신문 창간특집호(5월 15일)에 물꼬 이야기가 물꼬 2006-05-15 2712
874 SBS 임성훈의 '생방송 세븐데이즈' 방송 물꼬 2006-05-20 3266
873 2006 여름, 계절 자유학교 안내 file 신상범 2006-06-15 4515
872 제 41회 국제 청년 캠프(IYC) 물꼬 2006-07-30 2364
871 어린이건축교실(8월 23-4일) 물꼬 2006-08-05 2354
870 백열세번째 계절 자유학교 참가하는 분들께 자유학교물꼬 2006-08-11 2359
869 2006 여름 계절자유학교 사진 공지 물꼬 2006-08-28 2438
868 2006 물꼬 달골포도 판매 및 포도따기잔치 자유학교물꼬 2006-09-03 27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