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5. 5.달날. 구름 좀

조회 수 681 추천 수 0 2014.05.31 01:07:34


고구마를 심었습니다.

날이 쌀쌀합니다.

묵언수행.

모험을 찾아 나선 이들처럼 산을 들어가

바위를 오르기도 하고 없는 길을 걷기도 하고

그러다 죽은자들의 집을 만나 쉬기도 하고

고사리도 꺾고

죽음과 삶과 흙과 돌과 나무 사이를 유영한 한 때.


선배가 가족들과 다녀갔습니다.

수행 들어가 있던 시간이라

소사아저씨가 맞고 안내도 하였지요.

“그런데요, 이거요...”

소사아저씨가 내미는 돈.

막걸리 한 잔 하시라며 선배가 건네고 가셨다는.

참내...

책상은 자꾸 늦어진다네요.

지난 해 가을 학술제를 다녀가며

가마솥방 낡은 책상을 가구하는 친구에게 부탁해서 꼭 챙겨 보낸다셨던.


한 아이가 보내온 글을 읽습니다.


...

지금도 습관처럼 한숨을 쉬고 눈물이 나요.

근데 이 눈물도 제가 감히 흘릴 수 있을까요.

봄 햇살은 따뜻하기만 하고 제 일상은 아무렇지가 않아요.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라는 질문을 마주할 때면

날카롭고 분석적인 기사도, 청계광장에 앉아있는 사람들도 와 닿지가 않아요.

친구들과 청계광장에 나가서 우리의 뜻을 알리고 사람들과 마음을 모아도

자꾸만 무기력해져요.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이 일을 잊게 될까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잊지 않는 것 뿐인데.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저 스스로 알아야 하는 거 알아요.

그냥 선생님 얼굴이 생각이 나서요. 이렇게 글 남기고 가요.


그리고 몇 줄의 답글을 건넨.


‘햇살은 따뜻하기만 하고 제 일상은 아무렇지가 않아요...’

먹먹하다.

그래, 얘야, 그렇다, 이 봄, 여전히 참 눈부시다.

할 말이 없다, 참 없다.

달래 길도 없다, 애써서 살아야지. 생각 있는 사람들이 뭔가를 해야지.

그래, 그래, 보고 싶다. 우리 아이들이 참 보고 싶다.

서로가 잘 있어주는 것이 서로에게 힘이더라.

잘 지내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06 2011. 7.29.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223
4805 2011. 7. 9.흙날. 대해리도 창대비 옥영경 2011-07-18 1223
4804 2011. 5.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6-04 1223
4803 8월 26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223
4802 2월 17일 나무날 옥영경 2005-02-26 1223
4801 2011. 9.13.불날. 찌는 늦더위 옥영경 2011-09-30 1222
4800 놓쳤던 몇 가지 옥영경 2009-01-27 1222
4799 2008. 9.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22
4798 2006.12. 6.물날. 흐릿 옥영경 2006-12-11 1222
4797 2006.11.17.쇠날. 맑음 옥영경 2006-11-20 1222
4796 7월 6일 물날 장마 가운데 볕 옥영경 2005-07-16 1222
4795 2012. 1. 7.흙날. 맑음 / 150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1-15 1221
4794 2011.12.11.해날. 흐리나 푹한, 그러다 해도 반짝 옥영경 2011-12-20 1221
4793 예비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13. 1.18.쇠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1220
4792 2012. 4.14.흙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20
4791 2011. 4. 5.불날. 맑음 / 이동학교 옥영경 2011-04-13 1220
4790 2007. 6.14.나무날. 비 옥영경 2007-06-28 1220
4789 138 계자 사흗날, 2010. 7.27.불날. 소나기 한때 옥영경 2010-08-04 1219
4788 2010. 4.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04-18 1219
4787 6월 16일 나무날 까부룩대는 하늘 옥영경 2005-06-19 121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