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신 봄날입니다.

하룻밤을 묵은 한 심리연구소 대표님을 떠밀듯 보내고,

마을 어르신들 몇과 읍내를 나갔습니다.

내일 어버이날 경로잔치를 위한 장보기.

부녀회장 역 한 거지요.

읍내 나간 걸음에 어르신들 한 분 한 분

작정하고 당신 볼일들도 보시고.

날 참말 좋습디다.


부랴부랴 좇아 들어와 장을 갈랐지요.

적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소금물에서 메주 건져 으깨고, 으깨고, 으깨고.

묵은 장은 합치고,

새 장은 쟁여서 봉해놓고.


또 부랴부랴 수행모임.

밤, 물날수행모임이 있는 날.

오늘은 기공도 같이 했더랍니다.


요새 마당 건너 커다란 백합나무는 새 꽃대가 오르기 시작합니다.

제가 키우는 것 아니라지만 아끼기로야 애지중지하는 난 못잖지요.

퇴계는 날마다 화분의 매실나무를 보며 격물을 실천했다 했습니다.

임종의 순간에도 매화분에 물을 주라는 말을 남겼다지요.

매화나무를 보기 위해 먼 길도 마다않고 달려갔고

귀향길에도 매화분을 따로 전해 받았다고.

그의 <매화시첩>만 해도 매화와 시를 주고받으며 대화를 나누기까지 한 흔적.

(인쇄 열이 식지 않은 신간 <선비가 사랑한 나무>강판권/한겨레출판)

격물! <대학>의 공부방법 하나. 어떤 사물에 이르러 직접 관찰하는.

‘격’이 이를 격이었던 것.

매실나무 잘 키우라는 퇴계의 유언은

그러니까 격물을 통해 성찰하며 살라는 당부로 해석.

책은 나무의 본성을 이해하고 그 나무를 사랑했던 선비들의 철학을 살핍니다.

성삼문이 사랑한 배롱나무며...

또한, 책은 성리학의 실천방법 중 핵심개념으로 근시를 말합니다.

가까이서 생각한다!

나무를 가까이 두고 사랑했고, 나무를 통해 공부와 깨달음에 도달했다는 것.

무언가를 가꾸고 키우는 일이 그런 것이렸다,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3745 2014. 6. 4.물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695
3744 2014. 6. 3.불날. 흐리고 비 옥영경 2014-06-24 727
3743 2014. 6. 2.달날. 비 몇 방울 옥영경 2014-06-24 698
3742 2014. 6. 1.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712
3741 부산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예비교사연수(5.31), 갈무리글 옥영경 2014-06-13 1060
3740 2014. 5.31.흙날. 맑음 / 예비교사연수 옥영경 2014-06-13 709
3739 2014. 5.3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91
3738 2014. 5.28~29.물~나무날. 이슬 밟고 떠난 밤손님처럼 새벽비 옥영경 2014-06-13 704
3737 2014. 5.27.불날. 아침 비 내린 뒤 갠 하늘, 그리고 바람 옥영경 2014-06-13 739
3736 2014. 5.26.달날. 갠 하늘로 바람 거세게 휘돌고 옥영경 2014-06-13 696
3735 어른 계자 닫는 날, 그리고 갈무리글, 2014. 5.25.해날. 오후 비 옥영경 2014-06-13 781
3734 [고침] 어른 계자 여는 날, 그리고 이튿날, 2014. 5.23~24.쇠~흙날. 덥고, 뿌연 하늘 옥영경 2014-06-13 696
3733 2014. 5.2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95
3732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55
3731 2014. 5.20.불날. 종일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6-07 694
3730 2014. 5.19.달날. 오후 잠깐 흐림 옥영경 2014-06-07 807
3729 2014. 5.18.해날. 30도라나요 옥영경 2014-06-07 807
3728 2014. 5.17.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07 751
3727 2014. 5.16.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04 721
3726 2014. 5.15.나무날. 가끔 해, 그리고 바람과 바람과 바람 사이 옥영경 2014-06-04 69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