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20.물날. 나흘째 비

조회 수 701 추천 수 0 2014.09.20 20:40:15

 

질깁니다.

오래전부터 내려왔던 것 같은 비입니다,

너무 익숙해서.

 

열무김치를 담습니다.

올 여름 처음 담는 열무.

이렇게 한동안 쏟아지는 열무는

김치로 국수로 비빔밥으로 전으로 먹힐 것입니다.

사람 일이 어찌해도 저들은 저들끼리

그리 나고 자라고 그리고 사라질 테지요.

 

아직 길을 나서지 못했습니다.

교무실에서 계자 후속 작업들.

생태기행 나흘 일정 가운데 첫날.

내일 합류하려고.

덕분에 휴가를 떠나며 들렀던 선배도 물꼬에서 내리 묵고 계시는군요.

 

오늘 화제의 하나는 오래전의 영화 잉마르 베르히만의 <산딸기>.

여든 살 앞둔 의사 이삭 보리가 명예학위를 받으러 가는 하루 여정.

저명하지만, 사랑과 가족관계에서 불행했던 그는

그것이 자신의 무관심과 이기심 탓이었음을 깨닫습니다.

“살다가 문득 왜 사는가 싶은 거지.”

나이든 이들의 인문학 열풍도 그런 것 아닐까 싶은.

지적허영도 한 몫을 했을 수도 있겠지만.

“현실이 불행할 때 인간은 과거를 그리워하지.”

뭐 꼭 그렇지만도 않지만.

그런데, 우린 그때로 돌아갈 수가 없지요.

인간에겐 앞만 있습니다.

가는 길만 있는 거지요..

“그래서, 삶의 의미가 무엇이래?”

삶은 무엇이니이까.

영화는 말합니다.

“타자에 대한 관심 이해 용서가 바로 우리 삶이 갖는 중대한 의미 아니겠어?”

결국 사랑이겠지요.

인간의 가장 위대한 영역.

인간이 그나마 멸망하지 않고 이 지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까닭 말입니다.

사랑하고 또 사랑할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826 2009. 5.25.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16
3825 2010. 9.26.해날. 흐릿해지는 하늘 옥영경 2010-10-11 1015
3824 2010. 3.17.물날. 흐리다 야삼경 눈 시작 옥영경 2010-03-30 1015
3823 2009 겨울, 청소년(새끼일꾼)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0-01-03 1015
3822 2009.11.14.흙날. 흐림 옥영경 2009-11-22 1015
3821 11월 빈들 이튿날, 2010.11.27.흙날. 비바람 지나는 한낮 2010-12-12 1014
3820 2010. 9.20.달날. 비 내리고 흐림 2010-10-05 1014
3819 2009.12.31.나무날. 새벽 펑펑 내린 눈 옥영경 2010-01-04 1014
3818 2009.10. 1.나무날. 오후 흐려지는 하늘 옥영경 2009-10-12 1014
3817 2009. 7. 1.물날. 다시 볕은 뜨겁다 옥영경 2009-07-10 1014
3816 2009. 5.19.불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14
3815 2011. 1.2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2-02 1013
3814 2010. 8. 7.흙날. 소나기 / 140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0-08-20 1013
3813 2009. 9. 9.물날. 맑음 옥영경 2009-09-18 1013
3812 2009. 7.12.해날. 집중호우 옥영경 2009-07-30 1013
3811 2010.12.29.물날. 눈 2011-01-03 1012
3810 2010.12. 5.해날. 맑음 옥영경 2010-12-22 1012
3809 2010.11.30.불날. 비바람 부는 아침 옥영경 2010-12-22 1012
3808 2009.10. 9.쇠날. 맑음 옥영경 2009-10-23 1012
3807 2019. 4.24.물날. 비 오락가락, 그리고 긴 세우(細雨) / 간장집 처마 기둥 옥영경 2019-07-04 10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