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20.물날. 나흘째 비

조회 수 705 추천 수 0 2014.09.20 20:40:15

 

질깁니다.

오래전부터 내려왔던 것 같은 비입니다,

너무 익숙해서.

 

열무김치를 담습니다.

올 여름 처음 담는 열무.

이렇게 한동안 쏟아지는 열무는

김치로 국수로 비빔밥으로 전으로 먹힐 것입니다.

사람 일이 어찌해도 저들은 저들끼리

그리 나고 자라고 그리고 사라질 테지요.

 

아직 길을 나서지 못했습니다.

교무실에서 계자 후속 작업들.

생태기행 나흘 일정 가운데 첫날.

내일 합류하려고.

덕분에 휴가를 떠나며 들렀던 선배도 물꼬에서 내리 묵고 계시는군요.

 

오늘 화제의 하나는 오래전의 영화 잉마르 베르히만의 <산딸기>.

여든 살 앞둔 의사 이삭 보리가 명예학위를 받으러 가는 하루 여정.

저명하지만, 사랑과 가족관계에서 불행했던 그는

그것이 자신의 무관심과 이기심 탓이었음을 깨닫습니다.

“살다가 문득 왜 사는가 싶은 거지.”

나이든 이들의 인문학 열풍도 그런 것 아닐까 싶은.

지적허영도 한 몫을 했을 수도 있겠지만.

“현실이 불행할 때 인간은 과거를 그리워하지.”

뭐 꼭 그렇지만도 않지만.

그런데, 우린 그때로 돌아갈 수가 없지요.

인간에겐 앞만 있습니다.

가는 길만 있는 거지요..

“그래서, 삶의 의미가 무엇이래?”

삶은 무엇이니이까.

영화는 말합니다.

“타자에 대한 관심 이해 용서가 바로 우리 삶이 갖는 중대한 의미 아니겠어?”

결국 사랑이겠지요.

인간의 가장 위대한 영역.

인간이 그나마 멸망하지 않고 이 지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까닭 말입니다.

사랑하고 또 사랑할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26 2007. 3.1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241
4925 8월 28일 해날, 달골 아이들 집 첫 삽 옥영경 2005-09-12 1241
4924 8월 22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9-11 1241
4923 7월 4일 달날 끝없이 비 옥영경 2005-07-13 1241
4922 11월 27일 흙날 맑음, 밥알 반짝모임 옥영경 2004-12-03 1241
4921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40
4920 2012. 3.12.달날. 꽃샘추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40
4919 2011. 6. 3.쇠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40
4918 2011. 5. 7.흙날. 흐리고 빗방울 지나다 맑음 옥영경 2011-05-20 1240
4917 2011. 1.26.물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40
4916 2009. 5.21.나무날. 새벽비 내렸다 개다 옥영경 2009-06-06 1240
4915 2009. 5. 5.불날. 덥더니 저녁답 소나기 뿌리다 옥영경 2009-05-13 1240
4914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40
4913 2009. 3. 5.나무날. 비 / 경칩 옥영경 2009-03-17 1240
4912 2008.12.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2-29 1240
4911 2008.11.30.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40
4910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8-04-06 1240
4909 2008. 2.1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240
4908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240
4907 2007. 1.2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03 124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