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21.나무날. 비

조회 수 698 추천 수 0 2014.09.20 20:44:08

 

닷새째 비.

비 때문에 묶인 발도 아닌데

마치 비에 갇힌 것 같은.

생태기행이 나흘 진행되고 있고

오늘이 그 이틀째.

그러나 아직 길을 나서지 못하고

교무실에서 계자 후속작업들.

내일 이른 아침에는 가리라 합니다.

 

계자는 초등 아이들을 돌보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여러 계층에서 각자가 가진 짐을 부려놓고 가는 자리이기도.

그래서 초등 대상의 계자는 그저 초등 계자가 아니라

청소년 계자이고 어른 계자이고 자기 수행이고 집단상담이고...

계자에 합류하지 못하고

새로운 학기를 시작하면서 다시 두려움과 싸우는 한 아이의 메일을 받습니다.

아비를 잃고 세월호를 겪으며 또 그리 누군가를 잃을까 겁이 난 아이는,

아이라지만 이미 대학생인,

사귀는 이도 그리 잃을까 두렵습니다.

두려움...

누구라도 앓고 있을 테지요, 다만 그 강도가 다를 것.

과거의 아픈 기억과 미래의 불확실성 사이에 놓여 있는 것이 두려움이라 했습니다.

이걸 어떻게 극복들 하시는지.

누구는 가벼움을 확보하는 게 방법이라 했습니다.

그치요, 모든 것은 떠납니다.

나도 가고 너도 갈 것이지요.

그걸 알고 있으면, 알아차리고 있으면 좀 낫지 않을지.

지금 가진 것은 잠시 내 곁에 있는 것이므로,

그래서, 그러므로 지금에 집중할 것, 지금 사랑할 것!

언젠가 떠난다는 것을 받아들이면,

지금 앞에 있는 풍광에, 지금 앞에 있는 사람에 더 몰입할 수 있지 않겠는지.

떠나는 건 잃는 게 아니라 원래 상태로 다만 돌아가는 것.

내게 오래 머물면 그럴 수 없이 좋겠지만

떠난다 해도 손 흔들며 ‘잘 가’ 하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58 2014. 2. 7.쇠날. 흐리다 저녁부터 눈 옥영경 2014-02-28 693
4757 2014. 5.2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93
4756 2014.10.24.쇠날. 하늘 좀 봐요, 가을하늘 옥영경 2014-10-31 693
4755 2014.12.21.해날. 맑으나 가끔 눈 날리고 옥영경 2015-01-03 693
4754 2015. 2.18.물날. 싸락눈 옥영경 2015-03-13 693
4753 2015. 3.13.쇠날. 비 옥영경 2015-04-16 693
4752 2015. 6.14.해날. 아침 쥐꼬리 소나기 옥영경 2015-07-20 693
4751 2015. 6.26.쇠날. 비 / 6월 빈들 여는 날 옥영경 2015-07-24 693
4750 2015. 6.30.불날. 흐린 하늘 위로 비 잠시 묻어온 옥영경 2015-07-28 693
4749 2015 어른 계자 여는 날, 2015. 8. 7.쇠날. 맑음, 그리고 밤 비 옥영경 2015-08-23 693
4748 2015. 8.15~16.흙~해날. 맑았던 하늘이 흐려가다 옥영경 2015-09-03 693
4747 2015. 8.30.해날. 맑음 옥영경 2015-09-26 693
4746 2015.10.2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93
4745 2015.11. 4.물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93
4744 2016. 3.14.달날. 맑음 옥영경 2016-03-31 693
4743 2016. 4.29.쇠날. 맑음 옥영경 2016-05-11 693
4742 2016. 6.27.달날. 맑음 옥영경 2016-07-21 693
4741 164 계자 닷샛날, 2019. 8. 8.나무날. 소나기 / 민주지산(1,242m) 산오름 옥영경 2019-09-10 693
4740 2013. 6.27.나무날. 조금씩 무거워지던 하늘, 그리고 빗방울 몇 옥영경 2013-07-20 694
4739 2013. 8.30.쇠날. 갬 옥영경 2013-09-16 6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