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13.쇠날. 비

조회 수 696 추천 수 0 2015.04.16 17:03:27


비가 내렸다. 오전에도 내리고 오후에도 내렸다.

소포가 왔다. 사탕이 왔다. 아직도 그런 게 온다.

세속적인 어떤 날들은 그렇게 뜻밖의 유쾌함이 되기도 한다.

잊히지 않아 고맙다.


주말이 시작되는 저녁, 거창의 신원스님과 당신의 벗 흥덕샘이 다녀가시다.

두 해전 겨울은 눈 날리는 날 쪼개준 신원스님의 장작으로 아이들 방을 데웠다.

시래기 국밥을 냈다.

맛나한다, 고맙다.

이 산골에서 어쩌면 가장 의미 있는 일은 이런 것일지도,

멕여주고 재워주는.

식당도 가게도 없는 곳이니. 다행히 펜션은 있다만.


와서 이 봄에 사택의 떨어진 문짝이며 학교 구석구석을 같이 작업하기로 했던 벗은

목 길게 빼고 기다렸지만 한 주가 지나도록 오지 못하고 있다.

그의 마음이 어떨지 싶어 전화도 넣지 못한.

그를 기다리는 일,

물꼬 일,

오랫동안 이 산마을에서 학교를 다니지 않고 어미 일을 돕던 아이는 그랬다,

물꼬 일만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다고, 그 끝없는 일에.

“그래도 공부는 하면 성과가 있는데...”

그래서 공부가 재밌단다.

뭐, 물꼬 일도 재밌다.

그래도 하나를 하면 한 거 아니더냐, 하나가 끝난 건 맞지 않더냔 말이다,

다음 일이 그 다음 일이 동시다발적이기도 하다만,

낡고 오래이어 표도 별 없다만.


지난주에 재단해둔 가구를 이제야 조립하고 있는데, 벨이 울렸다.

한참을 소식 없던 품앗이샘이다.

무슨 일들인가가 있고, 그 시간을 걸어가느라 소식 없는 거다.

다들 애쓰며 살아가고들 있는 거다.

하여 무소식이 희소식이란 말은

소식이 소식이 될 때 모든 상황이 정리되어 희소식일 수밖에 없겠고나.

고맙다. 잘 건너가주어.

여기도 안녕하다. 잘 건너가고 있다.

늘 하는 말이다만 형제고 자식이고 부모고 벗이고

아쉬운 소리만 아니 해도, 각자 잘 살아만 주어도 서로 돕는 것일지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86 2015. 6.21.해날. 소나기 한 줄기 옥영경 2015-07-23 697
4785 2015. 6.29.달날. 구름 한 점 옥영경 2015-07-28 697
4784 2015. 6.30.불날. 흐린 하늘 위로 비 잠시 묻어온 옥영경 2015-07-28 697
4783 2015. 7. 1.물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7-29 697
4782 2015. 7.15.물날. 맑음 옥영경 2015-08-02 697
4781 2015. 8.14.쇠날. 맑음 옥영경 2015-09-03 697
4780 2015.10.16.쇠날. 맑음 옥영경 2015-11-06 697
4779 2015.12.14.달날. 비 옥영경 2015-12-29 697
4778 2016. 2.17.물날. 맑음 옥영경 2016-03-09 697
4777 2016. 6.16.나무날. 갬 옥영경 2016-07-13 697
4776 2016. 7.17.해날. 갬 옥영경 2016-08-06 697
4775 2016.12.19.달날. 비 옥영경 2016-12-28 697
4774 2017. 5.31.물날. 흐리다 굵은 비 다섯 방울 옥영경 2017-07-07 697
4773 2014. 1.11.흙날. 흐림 옥영경 2014-02-03 698
4772 2014. 1.22.물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98
4771 2014. 1.2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98
4770 2014. 1.29~31.물~쇠날. 비 내리고 개고 옥영경 2014-02-18 698
4769 2014. 6. 2.달날. 비 몇 방울 옥영경 2014-06-24 698
4768 2014. 6. 7.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24 698
4767 2014. 6.2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7-04 6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