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을 당하게 되면 그 사람은 숨을 쉬는 생생한 인간에서 사물로 변형되어 버린다. 즉 인간을 하나의 개인으로서, 인류로서 구별케 해줄 수 있는 바가 잔인하게 파괴되어 버린다"

 타인의 고통을 담고 있는 사진이나 영상이 계속 반복되면 사람들은 이런 광경을 바라보는 고통,

그 이미지 속의 존재들에 대해 느끼는 고통에 점점 더 무감각해집니다.

"한번 충격을 줬다가 이내 분노를 일으키게 만드는 종류의 이미지가 넘쳐날수록, 우리는 반응 능력을 잃어가게 된다. 연민이 극한에 다다르면 결국 무감각에 빠지기 마련"이기때문입니다.

책에서 손택은 연민은 쉽사리 우리의 무능력함뿐만 아니라

우리의 무고함("우리가 저지른 일이 아니다")까지 증명해 주는 알리바이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보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오히려 그런 고통을 쳐다볼 수 있는 우리의 특권이 그들의 고통과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숙고해 보는 것,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나 잔혹한 이미지를 보고 가지게 된 두려움을 극복해 우리의 무감각함을 떨쳐내는 것,

그래서 전쟁과 악랄한 정치에 둘러싸인 채 타인에게 연민만을 베풀기를 그만둔다는 것,

바로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과제라고.


출판사 리뷰를 참고해, 2015년 섬모임의 첫번째 텍스트 선정 이유를 밝힙니다. 


세월호참사 1주기, 사람들의 반응이 다양합니다.

유가족분들과 함께, 그날의 아픔을 잊지 않고 해결된 것이 아무것도 없는 1년에 분노하며 투쟁하는 사람들과

가슴은 아프나 이제 그만하자, 지겹다는 이도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차가운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전 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봐야했던, 그 날의 기억을 다르게 받아안고 해석하기 때문이겠죠.

여러 가치가 공존하는 사회입니다.

무엇을 따르는 것이 정답이라 할 수 없으나,

명백한 사실은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은채 1년이 지났고, 우리는 4.16 이후 달라졌다는 것입니다.

국가를 믿고 순응하는 국민으로 살아가는 것은 또 다른 참사의 목도를 예견하는 것이라는 것도 잘 알게 되었습니다.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에게 연민을 보여주는 선에서, 보상금 지급만으로 세월호 참사를 덮으려는 것은

손탁의 말을 빌어,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비극에 대해 스스로 무감해지면서

우리 모두가 느꼈던, 참사의 책임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어서' 일거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시민들이 거리에서 진상규명을 외치는 것은 더 이상 유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서만이 아닙니다.

돈보다는 생명이 우선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단 한 명의 국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책임지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행동입니다.



나누미

2015.04.23 00:40:13
*.36.144.246

맞습니다
아리님이 얘기 했듯이 단 한 생명이라도 포기하지 않는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하여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제가 얘기하고자 하고 싶은 것은

폭럭과 국가 기강을 흔드는 행동
그래도 밉든곱든 한 나라의 수장이며
대한민국의 대통령인데 그에 대한 최소한의 지켜야 할 국민의 도리
그리고
국가의 상징인 국기를 불 태우는 그러한 있을수 없는 행동이

과연 타당한가?

더도 아닌 이것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6345
5904 누구나 확진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20220304 물꼬 2022-03-05 34170
5903 171번째 계절자유학교 사진 올렸습니다 한단 2023-01-21 33472
5902 바르셀로나, 2018. 2. 7.물날. 맑음 / You'll never walk alone file 옥영경 2018-02-08 32100
5901 [펌] 가장 명확한 기후위기 대응법엔 아무도 관심이 없다 물꼬 2021-09-14 30659
5900 어느 블로그에서 본 물꼬 이야기 [3] 졸업생 2009-04-11 23743
5899 어엇~? 이제 되는건가여? [2] 혜이니 2001-03-01 20238
5898 우이도를 다녀와서 류옥하다 2012-10-09 17064
5897 165 계자 사진 보는 법 관리자 2020-01-16 16488
5896 [11월 2일] 혼례소식: 김아람 그리고 마영호 [1] 물꼬 2019-11-01 15826
5895 물꼬를 찾아오시는 분들께(2003년판) [19] 물꼬 2003-09-22 13656
5894 [펌] 재활용 안 되는데 그냥 버려? 그래도 씻어서 분리배출하는 이유 물꼬 2021-02-21 12868
5893 [펌] 의대 증원? 이런 생각도 있다 물꼬 2023-12-23 12421
5892 황유미법은 어디만큼 와 있을까요... [1] 옥영경 2018-09-03 11977
5891 164번째 계절 자유학교 사진 류옥하다 2019-08-25 10499
5890 학교를 고발한다! - PRINCE EA 물꼬 2018-06-13 10328
5889 2018.1 7.해날. 비 갠 뒤 메시는 400번째 경기에 출전하고, 그날 나는 거기 있었는데 file 옥영경 2018-01-21 10111
5888 한국 학생들의 진로 image [1] 갈색병 2018-05-31 9865
5887 스무 살 의대생이 제안하는 의료정책 함께걷는강철 2017-08-23 9851
5886 '폭력에 대한 감수성'이 필요한! [펌] [1] 물꼬 2018-03-19 983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