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25.달날. 맑음

조회 수 682 추천 수 0 2015.07.06 10:45:53


무더웠다. 창원이 33도였다지.

햇살은 붕 떠다니다 못해

가끔 바람 한 가닥 지나가주어 대자대비를 실감케 했다.

예수님이 오셨고, 부처님이 오셨으며, 공자님이 세상에 머무셨다.

그리고 당신들 오신 날을 사람들은 기렸고,

오늘은 부처님 오신 기념일.

기락샘은 불자인 학교아저씨를 모시고 물한계곡 끝 황룡사에 들렀고,

학교아저씨는 다시 마을 아래 연남사에도 다녀왔다.


마을 한 댁의 자두밭에 있었다, 주인 부부와 손을 보태러온 한 이웃과.

햇살은 붕 떠다니다 못해 한 곳에 멈춰 오래 벌처럼 쏘기도 했고,

그 사이로 가끔 바람 한 가닥 지나가주어 대자대비를 실감케도 한 여름 한낮이었다.

자두나무가 드리운 그늘은 작은 녹야원이기도 하였네.

갠지스 강 중류의 그 동산에서 붓다는 성도한지 삼칠일 후 처음 설법을 하였다지.

바라나시에서 북동쪽으로 7㎞ 쯤 가면 있었다.

학교아저씨도 어제 엔진톱으로 잘라둔 땔나무를 창고동으로 옮겨놓고

오후에 와서 손 보태니

녹야원의 다섯 비구처럼 그리 다섯이 서로를 북돋우며 더운 날을 지나갔다.

마을에서 여러 관계들과 얽힌 일에

하소연도 하고 흉도 보고 같이 분노도 하고 격려도 하고 지지도 하고

그러다 결국 자신의 삶 자리를 돌아보게 된,

녹야원이 거기 있었다, 붓다가 거기 와 있었다.

모든 자리가 붓다의 그늘이고 모든 길이 붓다와 동행하는 길, 모든 순간이 붓다의 설법.


정수기가 또 문제를 일으킨다.

바꿔주어야 할까보다.

그런데, 정말 우리에게 정수기가 필요한가 다시 묻는.

한 때는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시간 속에 또 그렇지 않기도 하는.

물꼬는 늘 지점마다 정말로 그러한가를 다시 묻는다.

모든 것은 변한다는 것을 늘 전제하는.

여름 날 보리차를 끓여먹이던 방식을 다시 고려해본다.

고민하고 공부하고 결론짓기.

혹시 그대는 안(案)이 있으신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46 2013.10. 2.물날. 흩뿌리던 비 개고 옥영경 2013-10-25 686
1745 2013. 7.1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7-28 686
1744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85
1743 2015.10.31.흙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85
1742 2015. 9.18~19.쇠~흙날. 회색구름 다녀가고 옥영경 2015-10-16 685
1741 2015. 9. 8.불날. 맑음 옥영경 2015-10-01 685
1740 2015. 7.28.불날. 아침 얼마쯤의 비 옥영경 2015-08-05 685
1739 2015. 6. 3.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5
1738 2014. 8.31.해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4-09-20 685
1737 2013.12.12.나무날. 갰다가 다시 흐리며 눈비 옥영경 2013-12-27 685
1736 2016. 3. 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3-29 684
1735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84
1734 2015.10.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1 684
1733 2015.10. 5.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84
1732 2015. 9.30.물날. 맑음 옥영경 2015-10-17 684
1731 2015. 8.26.물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9-18 684
1730 2015. 8.22.흙날. 흐림 옥영경 2015-09-15 684
1729 2015. 3.14.흙날. 맑음 옥영경 2015-04-16 684
1728 2015. 3.11.물날. 좀 수그러드는가, 바람 옥영경 2015-04-16 684
1727 2014.12.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1-04 6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