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변죽만 울릴 것인가,

하늘은 흐려갔지만 별 기대 없이 보내는 아침.

마을은 제한급수에 들어가기로.

아침저녁 2시간씩.

그렇지 않아도 가마솥방에는 큰 물통이 늘 있다.

아이들 오가는 곳이니 혹여 갑자기 물 마르는 순간 있기라도 할까 준비해 둔.

우리 어머님들의 지혜였다.

그 물 일 년 열두 달 쓰는 일 없이 갈아두기만 해도 마음 언제나 든든한.

다시 물통 비우고 씻고 채워둔다.

아이 생일이었고, 이른 미역국이 있는 밥상으로 식구들이 둘러앉았다가

아이는 버스를 타고 집을 나섰다.

그리고,


“비다!”

드디어 빗방울이 떨어진다, 아침 10시에 가까워지는 시간.

그러나 쥐꼬리만큼 후두둑, 그러고 말았다.


이웃마을에서 손님들이 왔다.

목공예하는 영욱샘이 잠깐 차나 마시고 싶다는, 아주 가까운 지인들 인사나 시켜주고픈 마음,

하지만 이 산마을까지 하는 걸음에 밥상을 차려낸다.

사는 즐거움이 뭐 중뿔날 게 있나.

밥상 앞에서 같이 앉은 시간,

우리 무슨 연이 있어 어느 하루 여기 모여 밥을 놓고 마주하는가,

사람들이 여기서 밥을 같이 먹을 때마다 드는 생각.

“이제 가!”

몇 시간이 훌쩍 흐르고 나서야 할 때.

서울행.


내일부터 한 주 워크숍.

여기는 서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26 2011.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9-10 1237
4925 2011. 6. 3.쇠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37
4924 2010. 5. 7.쇠날. 맑음 / 오페라와 뮤지컬 콘서트 옥영경 2010-05-23 1237
4923 135 계자 이튿날, 2010. 1. 4.달날. 눈, 눈, 눈 옥영경 2010-01-07 1237
4922 2009. 5.21.나무날. 새벽비 내렸다 개다 옥영경 2009-06-06 1237
4921 2009. 5. 5.불날. 덥더니 저녁답 소나기 뿌리다 옥영경 2009-05-13 1237
4920 2008.10.22.물날. 비 옥영경 2008-11-02 1237
4919 119 계자 나흗날, 2007. 8. 3.물날. 맑음 옥영경 2007-08-07 1237
4918 2005.12.26.달날.맑음 / 자리를 털고 옥영경 2005-12-26 1237
4917 2005.12.1.나무날.흐림 / 포항행 옥영경 2005-12-06 1237
4916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36
4915 158계자 닷샛날, 2014. 8.14.나무날. 비 / 산오름 옥영경 2014-08-20 1236
4914 2012. 2.17.쇠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36
4913 147 계자 이튿날, 2011. 8.15.달날. 흐림 옥영경 2011-09-01 1236
4912 2011. 4.25.달날. 바람 바람 옥영경 2011-05-07 1236
4911 2010.12.17.쇠날. 눈 옥영경 2010-12-31 1236
4910 2010. 9.12.해날. 밤새 내리던 비 개다 옥영경 2010-09-29 1236
4909 133 계자 여는 날, 2009. 8. 9.해날. 회색구름 지나 오후 볕 옥영경 2009-08-14 1236
4908 7월 4일 달날 끝없이 비 옥영경 2005-07-13 1236
4907 159 계자 사흗날, 2015. 1. 6.불날. 소한, 흐리다 갬 옥영경 2015-01-12 123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