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22.달날. 밤 비

조회 수 679 추천 수 0 2015.07.23 16:35:24


이생진 선생님과 오랜만에 한참을 통화했다. 기뻤다.

이번 주말의 시 잔치에서 할 시강 주제에 대해 말씀하였다.

흔히 글읽기를 많이 강조하는데, 이번 당신의 말씀은 ‘글쓰기’란다!

맞다.

읽기를 강조해왔던 시간들에 쓰기는 혹여 소홀하지 않았나,

아이들의 이 닦기처럼 글쓰기도 습이 될 수 있지 않겠냐셨다.

선생님은 늘 젊은이다. 치열하게 생각하고 정리하신다.

먼 곳에서도 좀 처질 때면 선생님이 생각나는 까닭도 같은 이유일 것.


읍내 나갔다가 차 있는 곳으로 가며 서 있던 분과 인사를 하는데,

곁에 있는 이가 얼굴을 내민다.

“물꼬 선생님 아니세요?”

목소리를 듣고 알았단다.

물꼬에 와서 공연을 했던 따님의 어머니. 딸을 실으러 왔더랬다

그때라면 8년여는 되었을 텐데,

사람을 기억하는 것도 참 다양할세.

5만이 사는 영동이 좁아질 만큼 오래도 살었네.


드디어, 우르르 여름 계자 안내글들을 올렸다.

올해는 어른 계자까지 내리 여름에 있다.

자정에서야 시작, 네 시가 훌쩍.

늘 하는 일인데도 숫자가 들어가는 일은 여럿이 교정을 봐도 틀리고는 하더라.

올리고 다시 읽어야는데 내일은 역시 자정에 이르도록 움직여야 할 것이라

틈 날 때 다시 또 확인키로 하고 하루 마감.


으윽, 입안이 또 헐었다.

잠이 모자란 탓일 게다.

그거 빼고(굳이 꼽는다면) 걸릴 게 없는 날들이다. 그런걸 아마도 행복하다 라고 할 터.

아이들이 잘 살고 있고, 그것을 볼 수 있으니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766 2008.12. 4.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8-12-26 1178
1765 2008.12. 3.물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30
1764 2008.12. 2.불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89
1763 2008.11.30.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35
1762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308
1761 2008.11.29.흙날. 눈 펑펑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8-12-21 1302
1760 2008.11.28.쇠날. 푹한 / 김장 첫날 옥영경 2008-12-21 1470
1759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93
1758 2008.11.26.물날. 갬 옥영경 2008-12-10 1419
1757 2008.11.25.불날. 흐림 옥영경 2008-12-09 1392
1756 2008.11.24.달날. 비 옥영경 2008-12-08 1308
1755 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08-12-06 1395
1754 2008.11.21.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06 1208
1753 2008.11.22.흙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08-12-06 1443
1752 2008.11.19.물날. 맑으나 매워지는 날씨 옥영경 2008-12-06 1357
1751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옥영경 2008-12-06 1282
1750 2008.11.18.불날. 낮 잠깐 흩날리던 눈, 초저녁 펑펑 옥영경 2008-12-06 1184
1749 2008.11.17.달날. 흐림 옥영경 2008-12-06 1129
1748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493
1747 2008.11.1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1-24 116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