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 6.불날. 맑음

조회 수 702 추천 수 0 2015.10.31 23:53:21


한 시인의 시를 읽었다.

들깨를 터는데 향기가 나더라고,

그런데, ‘시대가 나를 두들기고 밟아갈 때/아 나는 무슨 속내를 내어놓나/

나는 무슨 향기를 바람에 전해주나’ 했다.


오늘부터 달골 콩밭 묵정밭에 굴삭기가 들어와 작업한다.

이틀 동안 장순샘이 진두지휘하기로 한다.

달골’은 학교에서 1km 떨어진 곳으로,

물꼬의 부속건물(햇발동과 창고동)이 있는 일대를 그리 부른다.

마을 건너편으로 가파르게 오른 산기슭.

이 골짝에서 가장 먼저 달을 볼 수 있는 곳(하여 ‘달이 머무는 골짜기’쯤),

그 말은 해를 맨 먼저 본다는 말이기도.

거기 명상정원, 치유정원 혹은 채플 공간을 오랫동안 꿈꾸어왔고,

드디어 시작을 한다.

“이틀에 못 끝내겠는데요...”

그러면 사흘이 될 테고, 그러다 나흘도 될 수 있으리.

하지만 그 이상은 어려울 듯.

예산도 예산이지만 천천히 생각하며 할 작업들이라

미리 대형장비로 작업을 그리 많이 할 일이 아닌.

기본 작업만 장비를 들이고, 손으로 손으로 손으로 몇 해 해나가리라 하니.

그 이름은 무엇이 될 거나;

‘달아 노피곰’ ‘아침 햇발’ ‘아침 뜨락’, ‘새벽 뜨락’, ‘달하 노피곰’, ‘해야 머리곰’, ‘노피곰 머리곰’ ‘새벽의 집’...


참을 내고 밥상을 차리고.

그럴 수 있는 날을 받았더랬다. 바깥수업이 없는 날로.

달골 오른 김에 햇발동과 창고동 앞마당 마른 풀을 매고,

어제 괴산유기농축제에서 실어온 제충국도 심었다.


주된 일은 장비가 하고 장순샘이 전체 상황을 점검하고 학교아저씨도 올라 손을 보태지만

고단하긴 함께이라.

게다 감기가 왔다.

어제 새벽 역에서 사람을 보내고 다시 사람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었고,

그만큼 떨었던 것.

곤하기 더한.

책상 앞에서 할 일들을 접고 자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06 2008. 8.30.흙날. 맑음 옥영경 2008-09-15 1194
4705 2006.5.10.물날. 비 옥영경 2006-05-11 1194
4704 2006.5.7.해날.맑음 옥영경 2006-05-11 1194
4703 2012.11. 5.달날. 갠 듯하다 오후 흐리고 밤 비 옥영경 2012-11-17 1193
4702 2009. 3. 6.쇠날. 흐림 옥영경 2009-03-21 1193
4701 2007. 4. 1.해날. 앞을 가리는 황사 옥영경 2007-04-16 1193
4700 2006.10.29.해날. 맑음 옥영경 2006-10-31 1193
4699 2006.1.27.쇠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193
4698 2008. 3.22.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192
4697 2006.3.16.나무날. 눈 옥영경 2006-03-17 1192
4696 2012. 3. 4.해날. 지난밤을 시작으로 종일토록 내리는 비 옥영경 2012-04-06 1191
4695 2008.11.18.불날. 낮 잠깐 흩날리던 눈, 초저녁 펑펑 옥영경 2008-12-06 1191
4694 2007. 5. 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191
4693 2006.3.14.불날. 천지에 눈 쌓인 맑은 아침 옥영경 2006-03-17 1191
4692 [바르셀로나 통신 16] 2018.12.29.흙날. 맑음 / 도시 이야기 2; <바람의 그림자> 옥영경 2019-01-10 1190
4691 159 계자 닷샛날, 2015. 1. 8.나무날. 맑음 / 십이(12)지산 산오름 옥영경 2015-01-14 1190
4690 2008. 7.22.불날. 맑음 옥영경 2008-07-30 1190
4689 2008. 7. 5.흙날. 폭염주의보 옥영경 2008-07-21 1190
4688 2008. 6. 7. 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23 1190
4687 2007. 2. 3.흙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