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10.나무날. 비

조회 수 880 추천 수 0 2015.12.29 05:31:10


새벽부터 내리던 비.

오후 비는 거세졌다.


돌탑을 걷어낸 곳에 건너편의 단풍나무 자리를 옮기다.

그 둘레 돌을 쌓고 마무리.

삶터를 옮기는 일은 생이 흔들리는 일.

그에게 좋은 자리이기를.


종일 글과 씨름하다

시집 두 권을 곁에 두기도 했다.

젊은 시인 황인찬의 <구관조 씻기기>와 관록의 시인 신대철의 <무인도를 위하여>.

황인찬은 신대철에 많은 빚을 지고 있었다.


‘숲으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그 사람이 들어갔다 나오지 않았다

옛날 일이다’


황인찬의 ‘무화과 숲’에서 신대철의 ‘칠갑산 2’를 보았다.


‘이른 아침 山 속에 들어간 사람은 영 나오질 않고 희마한 물소리, 물소리, 마을로 내려간

사람도 도중에 가을 山 속으로 들어갔는지? 소년들이 점점 평화로와지는 동안 山은 더 깊숙이

가을 속으로 들어간다. 山을 멀리 떠나 산 山사람들을 하나씩 가을 속으로 불러 들려 한번 들어가면

영영 나오고 싶지 않을 데를 찾아 미쳐 헤매게 한다’


황인찬의 ‘X’와 신대철의 ‘X’는 다른 걸 말하는 시였으나

같은 제목에서 같은 의미를 읽었다.

그렇게 맥을 이어가고,

그렇게 영향을 받고 훌륭한 시인이 태어나고.

사는 게 시이라, 시를 쓰지 않은지 오래다.

다시 시를 기웃거리고

그 바탕을 위해 책을 펼치기로 하는 날.

달래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마음결에 시가 이불이 되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226 2006.10. 7.흙날. 맑음 옥영경 2006-10-11 1098
4225 2005.10.4.불날.흐림 옥영경 2005-10-06 1098
4224 2017.12.26.불날. 가끔 흐림 옥영경 2018-01-23 1097
4223 2월 빈들 이튿날, 2012. 2 25.흙날. 자고나니 봄눈 옥영경 2012-03-04 1097
4222 2011.12. 4.해날. 흐림 옥영경 2011-12-16 1097
4221 2011. 9.29.나무날. 부슬비 옥영경 2011-10-12 1097
4220 2009.11.27.쇠날. 젖어있던 아침, 흐린 종일 / 김장 첫날 옥영경 2009-12-06 1097
4219 10월 몽당계자 닫는 날, 2009.10.25.해날. 맑음 옥영경 2009-11-07 1097
4218 2009. 3.25.물날. 머무르는 꽃샘추위 2009-04-08 1097
4217 2007. 5.1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097
4216 107 계자 가운데 왔던 선물들 옥영경 2005-09-09 1097
4215 2012. 9.23.해날. 맑음 옥영경 2012-10-21 1096
4214 2012. 7.17.불날. 비 흩뿌리고 가고 옥영경 2012-07-28 1096
4213 독일과 스웨덴, 잘 다녀왔습니다. 그리고... 옥영경 2012-06-27 1096
4212 2012. 4.28.흙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096
4211 2012. 3. 1.나무날. 커다란 달무리 옥영경 2012-04-06 1096
4210 2010. 9.22.물날. 비 옥영경 2010-10-05 1096
4209 2006.3.22.물날. 황사 옥영경 2006-03-24 1096
4208 2012. 7.24.불날. 불볕 옥영경 2012-07-29 1095
4207 107 계자, 8월 15-20일, 어른들 어른들 옥영경 2005-09-08 109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