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여섯 달을 지나고 있네.

주말에는 쉬던 아침수행을

지난 섣달부터는 하루도 빠짐없이 하겠노라 했고, 그리했다.

가장 큰 까닭은 기도할 일이 많아서였는지도 모른다.

우리 아이들, 우리 샘들, 우리 인연들...

사랑한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오늘도 바닥에 엎드리며 백배에 이르노니,

충만한 하루이시라.


한참을 소식 닿지 않았던 품앗이샘의 연락.

아팠노란다, 그리고 무기력했더란다.

괜찮다, 괜찮다, 괜찮다,

살았으면 됐다, 이리 연락할 수 있음 됐다.

그런 날이 있지, 그런 날이 오래일 때도 있지,

그래도 우리가 살아낸다는 것이야말로 ‘경이’!

물꼬에서 함께한 시간을 믿노니.

충분히 침잠하고 나면 일어설 수 있으리.

하지만, 더 이상 안 되겠다 싶을 땐 연락주시라, 꼭 주시라.

여기 물꼬 있음!


비 내렸고,

서각 하러 갔다가 샜다.

학교 큰 해우소에 붙일 ‘해우소’와

달골 드나드는 이들을 위해 창고동 밖에 붙여둘 ‘해우소’,

그 두 짝을 파가자 했는데...

오랜 시간을 담은 것들이 주는 감동이 있다.

그것이 살아있는 것이라면 더욱.

자연이 만든 데칼코마니,

저수지 가에 늘어선 왕버들이 물에 비쳐 그러했다.

경산의 반곡지였다.

차에서 내릴 땐 우산을 필요로 하더니 곧 접어도 되었다.

하여 못을 두어 바퀴 걷고 걸었네.

때 아니어도 복사꽃 흐드러지는 봄날도 알겠더라.

못 건너 왕버들 건너편으로는 복사밭이었다.

다시 비 흩뿌리는 반곡지를 뒤로 하고 나오며

20여 년 전의 청송 주산지의 가을을 떠올렸다.

못이 빚은 풍경인 까닭이었겠다.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도 꼬리를 물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946 2009. 6. 3.물날. 소낙비 옥영경 2009-06-13 934
1945 2009. 6. 1.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13 955
1944 2009. 5.30.흙날. 맑음 옥영경 2009-06-10 1035
1943 2009. 5.31.해날. 맑음 옥영경 2009-06-10 961
1942 2009. 5.2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6-07 1018
1941 2009. 5.29.쇠날. 꾸덕거리는 하늘 / 강연과 1일 체험 옥영경 2009-06-07 1149
1940 2009. 5.26.불날. 소나기 옥영경 2009-06-07 1026
1939 2009.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09-06-07 1116
1938 5월 빈들 닫는 날 / 2009. 5.24.해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69
1937 2009. 5.25.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17
1936 5월 빈들 여는 날 / 2009. 5.22.쇠날. 갬 옥영경 2009-06-06 1042
1935 5월 빈들 이튿날 / 2009.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38
1934 2009. 5.20.물날. 꾸물럭거리는 옥영경 2009-06-06 956
1933 2009. 5.21.나무날. 새벽비 내렸다 개다 옥영경 2009-06-06 1245
1932 2009. 5.19.불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14
1931 두 차례 특강 옥영경 2009-06-03 948
1930 2009. 5.17.해날. 비바람 옥영경 2009-06-03 1011
1929 2009. 5.18.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3 1258
1928 2009. 5.16.흙날. 비 옥영경 2009-05-24 1129
1927 2009. 5.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5-24 10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