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21.불날. 흐림, 하지

조회 수 700 추천 수 0 2016.07.16 11:58:52


아침까지 비 왔다.

하지만 땅 겉만 살짝 아주 살짝 적셨다.

‘하지’다. 정점에서 다시 짧아지는 해.

늘 이맘때면 스웨덴의 하지제를 그리워한다.

내년에 웁살라에 있을 거라던 계획이 달라지면서

보리라던 하지제도 못 봐 아쉬울세.


바깥 수업을 가기 전 태석샘 저녁을 대접했다.

시 잔치에 놓였던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 조감도를

수채화로 그려주셨더랬네.

스마트폰에 코 박고 있다가 혼나는 아이들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서 무슨 책을 읽고, 그래서 서로 무슨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겠는가,

그런 한탄들.

그런데 말이다, 아이들이 그렇게 하고 있는 절박한 무엇이 또한 있지 않겠는가!

우리 어른들의 더한 무엇(성찰?)이 더 필요하단 생각.

‘어른들은 뭔가 제 발이 저릴 땐 별것도 아닌 걸 부풀려가며 스스로 흥분하고, 스스로 화내고, 스스로 결론을 내려가며 장황하게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한 성장소설에서 열세 살 아이가 담임선생님의 정신교육에 그랬지.

‘어른들은 이상하게 남의 얘기를 잘도 지어내고 관심도 많았다. 다른 사람의 불행이 곧 자기의 행복도 아닌데, 남의 불행한 이야기는 아주 좋은 얘깃거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도 막상 남의 불행을 보면 같이 눈물짓는 게 또 어른들이었다. 그러나 남의 행복을 보고 같이 웃음 짓는 일은 별로 보지 못했다.’

그런 구절도 있었다.

낯이 뜨거워진다, 우리 그렇다, 나 그렇다.

아이들 앞에 설 때 훗날 저 아이가 이 순간을 기억하리라,

그러면 등을 곧추세우게 된다.

아이들 문화를 한탄하기 전 아이들 향해 애정으로 귀 기울여주기,

우리 꼴이나 좀 보기!


밤 2시 달 휘영청,

아, 하지의 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46 2015. 3.20.쇠날. 맑음 옥영경 2015-04-19 702
4745 2015. 4. 7.불날. 비 옥영경 2015-05-07 702
4744 2015. 6.14.해날. 아침 쥐꼬리 소나기 옥영경 2015-07-20 702
4743 2015.10.2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702
4742 2015.12.30.물날. 밤 눈 옥영경 2016-01-03 702
4741 2016. 6.2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21 702
4740 2016. 7.17.해날. 갬 옥영경 2016-08-06 702
4739 2021. 8.22.해날. 맑음 / ‘멧골책방’에서 책 대신 잔디 옥영경 2021-08-29 702
4738 2013. 8.14.물날. 맑음 옥영경 2013-09-02 703
4737 2014. 4.18.쇠날. 아침 비, 그리고 갬 옥영경 2014-05-21 703
4736 2014. 4.21.달날. 맑음 옥영경 2014-05-23 703
4735 [고침] 어른 계자 여는 날, 그리고 이튿날, 2014. 5.23~24.쇠~흙날. 덥고, 뿌연 하늘 옥영경 2014-06-13 703
4734 2014. 6. 2.달날. 비 몇 방울 옥영경 2014-06-24 703
4733 2014.10. 9.나무날. 볕 좋은 옥영경 2014-10-28 703
4732 2014.10.16.~17.나무~쇠날. 썩 내키지 않는 걸음처럼 맑다고 하기는 그런 옥영경 2014-10-31 703
4731 2015. 9.20.해날. 시원하게 맑지는 않으나 옥영경 2015-10-16 703
4730 2015.12.3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1-03 703
4729 2016. 6.13.달날. 가끔 구름 옥영경 2016-07-09 703
4728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703
4727 2014. 1.2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70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