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조회 수 1244 추천 수 0 2005.05.27 01:11:00

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마을 들머리 서낭당 아래서 간절히 되냈던 바램들처럼
깊이바라보기를 한 다음
소망을 담아 소나무 아래 돌쌓기를 한 '호숫가 나무'였네요.

아이들이 읍내 춤추러 나간 동안
밥알식구들이며 품앗이샘들이
세 다랑이 논 모내기를 시작했습니다.
역시 손모지요.
해거름 읍내서 돌아올 적 건너다보니
윗다랑이 젤 큰 논 절반을 하였기에
아하, 마저 끝내고들 오시겠지 하였는데 소식 없더니만
세상에, 작은 다랑이만 남기고 마저 심고 오셨답디다.
작년에 해본 일이라고 빠르기가 예사롭지 않았다나요.
그 허리들이 어땠을려나...
막노동꾼들의 됫소주와 농사꾼들의 됫막걸리의 힘처럼
그렇게 힘을 차린 '잠시 농꾼'들은 불콰해져서,
구워진 팔뚝으로, 빛나는 얼굴로, 돌아오셨습니다.
가을 햇벼를 이곳에서 얼마나 달게 먹을라나요,
쌀 한 줌 나눠주지 않는 물꼬 논농사에
온 땀 흘려준 손발들,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

저녁을 먹고 품앗이 승현샘이
애니메이션 한 편을 강당 벽에 쫘악 내린 크나큰 천에 쏘았지요.
쏟아진 화면에
다문 입을 닫지 못한 아이들은 흠뻑 취했더랍니다.
하기야 무엇이 재미가 없을라나요.
그런데 고단하긴 고단했나 봅디다,
어른들도 영화 한 편 본다고 앞 영화가 끝나길 기다리던 극장은
금새 불이 꺼지고 말았데요.

한 밤 승현샘이랑 기락샘은
계자 앞두고 그림동화 하나를 화면에 옮기는 작업을 했습니다.
가는 봄밤, 아쉬워 아쉬워 커다란 그림동화로 위로할려지요,
낼 모레 하는 백세 번째 계자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06 2007. 2.14.물날. 맑되 거친 바람 옥영경 2007-02-16 1247
5005 2006. 9.30.흙날. 참 좋은 가을날 옥영경 2006-10-02 1247
5004 2011. 5. 9.달날. 빗방울 묻어오다 옥영경 2011-05-23 1246
5003 2011. 4.29.쇠날. 흐림 옥영경 2011-05-11 1246
5002 2007. 3.10-11.흙-해날. 눈보라 / 달골에서 묵은 생명평화탁발순례단 옥영경 2007-03-28 1246
5001 2007. 2. 8. 나무날. 비 옥영경 2007-02-12 1246
5000 2007. 2. 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246
4999 2006.8.31.나무날. 맑음 / 새 식구 옥영경 2006-09-14 1246
4998 2005.12.11.해날.맑음 옥영경 2005-12-13 1246
4997 계자 104 닫는 날, 6월 26일 해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08 1246
4996 2012. 5.31.나무날. 젖은 아침 하늘 / 봄 단식 나흗날 옥영경 2012-06-09 1245
4995 2008. 6.25.물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45
4994 2007. 5.18.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6-03 1245
4993 2007. 3. 3.흙날. 흐림 옥영경 2007-03-10 1245
4992 2007. 2.17.흙날. 비 옥영경 2007-02-22 1245
4991 2006.10. 6.쇠날. 맑음 / 한가위 옥영경 2006-10-10 1245
4990 2006.9.3.해날. 맑음 / 가을학기 햇발동 첫 밤 옥영경 2006-09-14 1245
4989 2006.1.1.해날 / 물구나무서서 보냈던 49일 - 둘 옥영경 2006-01-03 1245
4988 물꼬가 병원을 기피(?)한다고 알려진 까닭 옥영경 2005-07-16 1245
4987 6월 6일 달날 의심없는 여름 옥영경 2005-06-09 124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