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005 산마을책방➂ 여는 날, 2019. 8.31.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12 603
5004 2019. 8.30.쇠날. 갬 옥영경 2019-10-12 597
5003 2019. 8.29.나무날. 흐림 / 때로 헤어짐을 지지함 옥영경 2019-10-11 563
5002 2019. 8.28.물날. 흐림 / 고무신 옥영경 2019-10-11 530
5001 2019. 8.27.불날. 안개비 / 당신이 내게 하늘을 주었을 때 옥영경 2019-10-11 577
5000 2019. 8.26.달날. 맑음 옥영경 2019-10-10 595
4999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➁ (2019.8.24~25) 갈무리글 옥영경 2019-10-10 563
4998 산마을 책방➁ 닫는 날, 2019. 8.25.해날. 맑음 옥영경 2019-10-10 533
4997 산마을 책방➁ 여는 날, 2019. 8.24.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10 590
4996 2019. 8.23.쇠날. 맑음 / 우리는 아이들과 어떻게 대화하고 있는가? 옥영경 2019-10-08 576
4995 2019. 8.22.나무날. 맑음 / 두 번을 놓치고, 한 번을 놓칠 뻔한 옥영경 2019-10-08 586
4994 2019. 8.21.물날. 흐림 / 소나무 전지 옥영경 2019-09-24 587
4993 2019. 8.20.불날. 맑음 / 당진 강연 옥영경 2019-09-23 582
4992 2019. 8.19.달날. 맑음 / You are what you eat! 옥영경 2019-09-23 604
4991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➀ (2019.8.17~18) 갈무리글 옥영경 2019-09-23 646
4990 산마을 책방➀ 닫는 날, 2019. 8.18.해날. 맑음 옥영경 2019-09-23 687
4989 산마을 책방➀ 여는 날, 2019. 8.17.흙날. 맑음 옥영경 2019-09-19 604
4988 2019. 8.16.쇠날. 흐림 / 그대에게 옥영경 2019-09-19 602
4987 2019. 8.15.나무날. 갬 옥영경 2019-09-19 601
4986 2019. 8.14.물날. 하늘의 반은 먹구름을 인, 그리고 자정부터 시작하는 비 / 164 계자 부모님들과 통화 중 옥영경 2019-09-19 62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