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99주년 기념식을 보았다.

젊은 친구가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문화정권이라 부를만했다. 힘차고 감동적이고 재밌었다.


영화 <말모이>를 보았다.

계몽적이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야말로 선언이 아니라 우리를 깨우치게 하는.

구구절절하지 않다. 단순한데, 퉁명스럽지 않게 말한다. 우직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야기.

마지막 자막에서 먹먹해지다.


‘한국어는 현존하는 3천 개의 언어 가운데 고유의 사전을 가지고 있는 단 20여 개의 언어 중 하나이며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식민지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자국의 언어를 온전히 회복한 나라이다. 

해방 후 사라진 줄 알았던 말모이 원고가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됨으로써 ‘조선말 큰사전’이 탄생한다.’


아, 그렇게 지켜졌구나!

감독 각본 엄유나. <택시운전사>가 그의 시나리오였다.

평범한,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이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에 대한 애정이(사람 귀함) 그런 시나리오와 연출을 낳았을 것이다.

(영화적 장치에 대한 이야기들이며는 다른 자리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46 138 계자 나흗날, 2010. 7.28.물날. 비 추적이던 아침 지나고 옥영경 2010-08-06 1234
4845 2008. 9.22.달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234
4844 2006.1.1.해날.맑음 / 계자 샘들미리모임 옥영경 2006-01-02 1234
4843 2005.12.14.물날.흐리다 한 밤에 눈 / 아이들만 돌린 하루 옥영경 2005-12-16 1234
4842 8월 31일 물날 흐리다 비도 몇 방울 옥영경 2005-09-12 1234
4841 106 계자 가운데 다녀간 손님들 옥영경 2005-09-07 1234
4840 5월 8일 해날 날도 좋지요 옥영경 2005-05-14 1234
4839 3월 10일 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5-03-13 1234
4838 2012. 9. 7.쇠날. 종일 흐리다 밤 9:10 비 옥영경 2012-10-01 1233
4837 2012. 3.29.나무날. 상쾌한 바람 뒤 저녁 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33
4836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33
4835 2009. 2.24.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9-03-11 1233
4834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33
4833 2012. 6.29.쇠날. 흐리다 빗방울 / 충남대 사범대와 ‘교육·연구 협력학교 협약’ 옥영경 2012-07-08 1232
4832 2011. 7.19.불날. 폭염 옥영경 2011-08-01 1232
4831 142 계자 나흗날, 2011. 1. 5.물날.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11-01-09 1232
4830 2008.12.14.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32
4829 2008.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32
4828 2012. 4.16.달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31
4827 2011.11. 2.물날. 흐림 옥영경 2011-11-17 123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