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잤고 잘 일어났다.

기온이 좀 올랐나 보다. 마음이 한결 낫다.

재밌기도 하지, 사실 상황은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다.

몇 가지 관청과 해결해야 할 건에 대한 부담은 그대로 있는데 말이다.


수십 년 이어온 잠의 습관을 바꾸고 있다.

새벽 서너 시는 기본, 네다섯 시에 자기도 예사였던 밤이었다.

그렇다고 아침이 그리 늦은 것도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잠이 퍽 적었던. 잠이 없어서는 아니고 하루흐름이 그리 되었다.

자정을 넘기지 않고 몸을 뉘고, 그리고 대여섯 시 일어나 수행하기.

가끔 어긋버긋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오늘은 세상과 교통하는 날인가 보다.

며칠 다시 낮아진 기온으로 웅크리다 이 아침 힘을 내고 수행을 하자마자

품앗이샘 하나의 문제가 들어왔다.

‘옥샘, 어제 읽은 책을 아침에 다시 살펴보는데, 옥샘 생각이 나서요!

사랑해요, 옥샘.’

그리고 펼친 책을 사진으로 보내왔다.

‘명상은 삶의 매 순간을 깊이 사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우리는 파도가 오로지 바다로 이루어져 있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역사적인 차원과 궁극적인 차원이 하나임을 깨닫는다. 파도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동안에도 우리는 바다를 만나고, 파도가 단지 바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파도만 만난다면, 우리는 고통받을 것이다. 그러나 바다와 만나는 법을 배운다면, 큰 위안을 얻을 것이다. 절대 세계에 이를 때, 우리는 많은 걱정들로부터 해방된다. 과거에 우리를 화나게 했던 일들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바로 어제 일어난 일이라 해도 아무 상관이 없다. 그대가 무한한 시간과 공간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해 보라.’


지난해 암투병을 한 학부모의 문자도 닿았다.

‘사는 게 그때 하지 않으면 자꾸 미뤄지게 되는 게 있더라구요. 맘 먹었을 때 가서 뵐께요.’

지금, 보고 싶다, 그립다, 생각한다, 기도한다,

그리 말 못할 게 무어겠는가.

그에게 말한다, 그-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85 143 계자 닷샛날, 2011. 1.13.나무날. 맑음 / 노박산 옥영경 2011-01-18 1231
4884 2010. 8.22.해날. 오늘도 무지 더웠다 / 영화 <너를 보내는 숲> 옥영경 2010-09-07 1231
4883 2010. 4.29.나무날. 새벽,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10-05-17 1231
4882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31
4881 2009. 3. 5.나무날. 비 / 경칩 옥영경 2009-03-17 1231
4880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231
4879 106 계자 가운데 다녀간 손님들 옥영경 2005-09-07 1231
4878 7월 9일 흙날 비, 비 옥영경 2005-07-16 1231
4877 2012. 5. 4.쇠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230
4876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30
4875 2011. 6.26.달날. 비 옥영경 2011-07-11 1230
4874 2011. 3.18.쇠날. 맑음 옥영경 2011-04-02 1230
4873 2010. 4.12.달날. 흐리더니 밤 빗방울 떨어지다 옥영경 2010-04-18 1230
4872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30
4871 2005.12.14.물날.흐리다 한 밤에 눈 / 아이들만 돌린 하루 옥영경 2005-12-16 1230
4870 5월 8일 해날 날도 좋지요 옥영경 2005-05-14 1230
4869 2012. 2. 6.달날. 맑으나 뚝 떨어지는 기온 옥영경 2012-02-21 1229
4868 2011. 9.21.물날. 맑음 옥영경 2011-10-04 1229
4867 2011. 7. 4.달날. 볕 나고 갬 옥영경 2011-07-11 1229
4866 2011. 6.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2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