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23.나무날. 맑음

조회 수 613 추천 수 0 2019.07.24 01:19:41


08시 자녀교육에세이 2차 교정원고를 송고하고,

계곡에서 올 첫 딸기를 땄다.

해마다 못다 먹고 지나는 딸기라.

어느 틈에 또 저리 익었나.

자고 일어나면 다른 세상이 있는 산야라.

그 재미로 또 사는 이 산골 삶이라.


건진샘 와서 공사했던 햇발동 보일러가 제대로 작동하는가 확인하다.

보일러실과 창고동 온수 연결고리에 생긴 문제의 원인도 찾고,

공구를 꺼내려고 열었던 컨테이너 문이 뻑뻑하니

그것도 손 닿은 김에 고쳐놓다.

사이집 현관 머리 중앙이 내려앉아 문이 뻑뻑했던 걸

일단 나무로 버팀목을 만들어주어 매끄럽게 하였네.

햇발동 창고동 사이집 우수통 바닥 구멍 다 뚫어주고.

고맙더라.

잠깐 둘러보고 학교로 내려간다 했던 걸, 정오가 다 돼서 끝난 일이었다.

여기 일이 그렇다.


오후에는 학교 큰해우소 전기를 고치다,

내가 아니고 건진샘이.

전기선이 큰해우소 지붕으로 노출된 일은 오래다.

그 말은 볕에 그대로 방치되었다는 것.

전기 들어오니 그러려니 하고 써왔다.

어째 그랬을까, 처음 한 사람이 제대로 했다면,

아니면 남은 이들에게 설명을 잘 했더라면.

어쩌면 우리가 이리 오래 이 학교를 쓸 줄 몰랐기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벌써 20년 넘어 되게 쓰고 있다.

세월이 그렇다, 사람 일이 그렇다.

내일 일을 모르고 사는 삶이라.

전기선만 그러랴.

전쟁통에 집 떠나 잠시 뒤 돌아갈 줄 알았으나 70년이 흐른 세월도 있잖더냐.

20년이 넘은 세월, 물꼬가 그리 오래 폐교된 학교를 빌려 쓸 줄 몰랐지.

학교를 새로 들어앉힐 줄 알았지.

그런데 아직 이 낡고 낡은 학교를 쓰고 있다.

그리고 얼마쯤을 더 쓰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06 2023. 3. 8.물날. 맑음 옥영경 2023-03-29 345
6505 2020. 5.11.달날. 맑음 옥영경 2020-08-08 346
6504 2020. 6.20.흙날. 맑음 옥영경 2020-08-13 346
6503 2020. 7. 1.물날. 종일 흐리다 아주 잠깐 해 옥영경 2020-08-13 346
6502 2020. 7. 5.해날. 흐린 속에 안타까운 듯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46
6501 2021. 3.20.흙날. 비 옥영경 2021-04-27 346
6500 2021. 4.19.달날. 맑음 / 이레단식 회복식 첫날 옥영경 2021-05-14 346
6499 2021. 5. 2.해날. 갬 옥영경 2021-06-09 346
6498 5월 빈들 이튿날, 2021. 5.29.흙날. 흐리지 않은 / 감잎차 뽕잎차 옥영경 2021-06-30 346
6497 2021. 6. 3.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1-07-01 346
6496 2022. 3. 9.물날. 맑음 옥영경 2022-04-04 346
6495 2022. 5.11.물날. 조금 흐림 옥영경 2022-06-16 346
6494 2022. 5.25.물날. 살짝 흐리다 밤비 / 설악산행 나흘째 옥영경 2022-06-24 346
6493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46
6492 2022. 7.22.쇠날. 오후 비 옥영경 2022-08-06 346
6491 2022. 8. 2.불날. 흐림 옥영경 2022-08-08 346
6490 2022.10.14.쇠날. 맑음 옥영경 2022-11-03 346
6489 2022.12.14.물날. 맑음 옥영경 2023-01-06 346
6488 2022.12.26.달날. 맑음 옥영경 2023-01-08 346
6487 2023. 1.24.불날. 싸락눈 내린 새벽 옥영경 2023-02-27 3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