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26 2023. 4. 5.물날. 비 옥영경 2023-05-03 651
5025 2022. 1.26.물날. 맑음 / 교육재정을 들여다보다; 풍요는 낭비가 아니다! 옥영경 2022-01-31 653
5024 2019. 9.20.쇠날. 흐려가는 오후 / 굴착기 옥영경 2019-10-30 654
5023 2015.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12 655
5022 2019. 6.10.달날. 밤비 아침에 개고 가끔 구름 / 돌을 쌓다 옥영경 2019-08-05 655
5021 2019. 7.19.쇠날. 밤, 태풍 지나는 옥영경 2019-08-17 655
5020 2019 여름 산마을 책방➀ (2019.8.17~18) 갈무리글 옥영경 2019-09-23 655
5019 2023. 8.15.불날. 맑음 / 청소에 대한 기록 하나 옥영경 2023-08-17 655
5018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56
5017 5월 물꼬stay 이튿날, 2019. 5.18.흙날. 비 옥영경 2019-07-19 657
5016 2019. 8.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08-22 658
5015 2015. 2. 6.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10 659
5014 2019. 7.29.달날. 맑음 / 삼남매의 계곡 옥영경 2019-08-22 659
5013 172계자 사흗날, 2023. 8. 8.불날. 소나기, 입추 옥영경 2023-08-10 659
5012 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15-02-26 660
5011 2023. 8.18.쇠날. 저녁 빗방울 좀 / 어린이 문화라고 하면... 옥영경 2023-08-20 660
5010 2024. 4.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23 660
5009 2021. 3. 6.흙날. 흐려가는 하늘, 는개비 다녀간 오후 옥영경 2021-03-26 662
5008 172계자 여는 날, 2023. 8. 6.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8 662
5007 2019. 7.18.나무날. 도둑비 다녀가고 흐림 옥영경 2019-08-17 66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