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026 125 계자 사흗날, 2008. 7.2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8-04 1456
5025 125 계자 나흗날, 2008. 7.3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8-06 1566
5024 125 계자 닷샛날, 2008. 7.31.나무날. 비 온 뒤 옥영경 2008-08-09 1381
5023 125 계자 닫는 날, 2008. 8. 1.쇠날. 맑음 옥영경 2008-08-10 2145
5022 2008. 8. 2.흙날. 맑음 / 12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8-08-22 1347
5021 126 계자 여는 날, 2008. 8. 3. 해날. 맑음 옥영경 2008-08-22 1394
5020 126 계자 이튿날, 2008. 8. 4.달날. 맑음 옥영경 2008-08-23 1327
5019 126 계자 사흗날, 2006. 8. 5.불날. 맑음 옥영경 2008-08-23 1666
5018 126 계자 나흗날, 2008. 8. 6.물날. 맑음 옥영경 2008-08-24 2156
5017 126 계자 닷샛날, 2008. 8.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8-24 1479
5016 126 계자 닫는 날, 2008. 8. 8.쇠날. 맑음 옥영경 2008-08-24 1316
5015 126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8-08-24 2870
5014 2008. 8. 9. 흙날. 맑음 / 12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8-09-07 1353
5013 127 계자 여는 날, 2008. 8.10.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333
5012 127 계자 이튿날, 2008. 8.11.달날. 소나기 옥영경 2008-09-07 1483
5011 127 계자 사흗날, 2008. 8.12.불날. 소나기 지나고 옥영경 2008-09-07 1531
5010 127 계자 나흗날, 2008. 8.13.물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8-09-07 1486
5009 127 계자 닷샛날, 2008. 8.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548
5008 127 계자 닫는 날, 2008. 8.15. 쇠날. 쨍쨍하다 소나기 옥영경 2008-09-07 1504
5007 127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8-09-07 198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