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에서는 백합나무 아래 개똥 무더기며

여러 해 숨어들 듯 마른 가지들 쌓인 곳들을 치우고 있었고,

 

어제부터 본교 특수샘이 병가다.

제도학교 시스템에 서툴어 공문이며 그를 기대고 지내는 시간이 긴데

갑자기 그의 부재에 허공에 한 발을 둔 느낌이 어제는 있었다.

마침 본교로 건너가야 하기도 했어서

어제는 그곳에서 필요한 일들을 챙겼고,

오늘은 분교에 머물며 그의 메모들을 챙기다.

장애이해교육 온라인 학습영상을 각 반 담임들에게 전하다.

 

드레싱을 만들어 야채샐러드에 끼얹은 도시락을

교사 바로 앞 운동장 가 스탠드에서 볕을 바래며 먹는다.

간밤, 가까운 도시에 사는 물꼬 식구들을 들여다보고

묵었다가 아침밥상을 차려준 뒤 도시락을 싸서 넘어왔더랬다.

건너 교문이 있고, 그 너머 산이 펼쳐진다.

물꼬가 아닌 곳이라는 생각을 잊게 하는.

나는 이 작은 곳에서 날마다 아이들을 기다리고 있다.

 

점심엔 병설유치원 교사와 분교 뒤란 언덕길을 걸었다.

탱자꽃이 피었다.

남도에서만 봤던 탱자 가시였는데.

하얀 꽃을 몇 개 따다 작은 그릇에 물을 담고 띄워 학급에 두었다.

학교며 학교 둘레에서 때때마다 꽃을 따다 둔다.

봄을 안으로 들이는 물꼬에서의 삶이 이곳에서도 이어지는.

 

오후에는 특수학급의 한동이네 방문수업을 갔다.

마을을 돌며 봄들꽃을 익히고,

들어오며 꽃 하나 꺾어와 손풀기를 하고,

온라인학습이 이루어지는 '바로학습'을 켜서

아이가 혼자 공부할 때 필요한 걸 점검하고

(특수학급에서는 수학과 국어만 지원하고 있으니),

수학은 지난 학기 했던 두 자리수 덧셈 뺄셈을 돌아보고

국어는 동화책으로 연음 발음하기.

한 발 가까워진 거리가 느껴지고 있었다.

 

물꼬 바깥식구들이 분교가 있는 소읍으로 종종 왔다.

인사도 있었고, 지나는 걸음일 때도 있었고,

어떤 문제를 얼굴 보고 상의하러 온다고도 했고,

여기 있다 하니 보러 온다고도 하는.

그렇다면 주마다 물날 저녁 시간에 보는 것으로 정해도 좋겠네 했다.

오늘 한 식구가 다녀갔다.

뜰을 잘 가꾼 한 절과 식물원을 들렀다

지는 해가 보이는 호숫가 한 집에서 밥을 먹었다.

먹을거리들을 사택에 들여주고 갔다.

 

포털을 보다가 한 젊은 친구에게 하나를 링크해서 보내다.

성실한 습관에 대한 내용이었다.

누군가에게 적확해서 보내야겠다 생각하는 글은

결국 자신에게 전하는 말이기도 하다.

1. 모든 걸 제자리에 둔다; 이건 물꼬에서의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2. 파킨슨 법칙; 어떤 시간이 주어지면 그 시간을 최대한 끝까지 쓰기

  학기 과제가 사흘이라면 이틀 안에 끝내는 걸 목표로,

  그 시간 안에 못해도 일을 대부분 끝내 놓으면

  더 문제 되는 부분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니까.

3. 하기 싫은 일은 더 빨리 한다.

  마크 트웨인의 말을 인용했더라;

  “개구리를 꼭 먹어야 한다면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먹는 게 좋다.

  또 개구리를 두 마리 먹어야 한다면 큰놈부터 먼저 먹어라.”

4. 무리한 약속을 안 한다;

  성실한 사람이 약속을 지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무리한 약속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5. 공정성을 지켜라.

  ‘성실한 사람은 근무 시간 기록표를 속이거나,

  사무용품을 훔치거나, 거짓말을 하거나,

  게임이나 스포츠를 할 때 규칙을 어기거나,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거나,

  무언가를 빌리고는 돌려주지 않거나,

  남의 물건을 허락도 없이 사용할 확률이 낮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166 4월 26일 불날 맑네요 옥영경 2005-04-29 1506
6165 98 계자 여는 날, 8월 16일 달날 비 옥영경 2004-08-18 1506
6164 11월 30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4-12-03 1504
6163 2012. 1.28.흙날. 맑음 옥영경 2012-01-31 1503
6162 2006.8.20.해날. 흐림 / 달골 포도, 상에 오르다 옥영경 2006-09-02 1503
6161 2008. 6.29.해날. 가랑비 뒤 옥영경 2008-07-11 1502
6160 2007.10. 5.쇠날. 흐릿하더니 걷히다 / 대전 시립미술관과 이응노미술관 옥영경 2007-10-13 1502
6159 6월 7일, 조릿대집으로 재입주 옥영경 2004-06-11 1502
6158 127 계자 닫는 날, 2008. 8.15. 쇠날. 쨍쨍하다 소나기 옥영경 2008-09-07 1501
6157 4월 15일 나무날 총선 투표하고 옥영경 2004-04-28 1501
6156 124 계자 닷샛날, 2008. 1.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1500
6155 120 계자 닷샛날, 2007. 8. 9.나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7-09-03 1500
6154 3월 9일 물날 맑음 / 물입니다, 물 옥영경 2005-03-10 1500
6153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둘 옥영경 2004-04-28 1500
6152 2007.11.26-12.2. 달날-해날 / 낙엽방학 옥영경 2007-12-17 1499
6151 6월 3일 쇠날 말짱한 하늘 옥영경 2005-06-04 1499
6150 2006.3.24-5.쇠-흙날. 맑음. 떼 뜨러 가다 옥영경 2006-03-27 1498
6149 9월 6일 불날 저 멀리 태풍 지나가느라 예도 비 들고 옥영경 2005-09-15 1498
6148 98 계자 닫는 날, 8월 21일 흙날 옥영경 2004-08-25 1498
6147 2012. 4. 3.불날. 눈, 바람, 비 옥영경 2012-04-07 149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