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부엌곳간에 한천이 있었다.

우뭇가사리의 다른 이름이다.

여름에 묵을 쑤어 콩국에 말아먹기도 하지만

이곳에 있었던 까닭은 아이들에게 만들어주던 양갱 때문이었다.

팥을 삶아 으깨고 밤도 통으로 깎아 넣곤 했다.

오래전 일이다.

남은 것이 여러 해 되어 먹기도 그렇고 버리기도 그렇게

또 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오늘 그 쓰임이 있었으니.

 

겨울에 얼어터진 수도관을 고치느라 헐어낸,

구멍 뻥 뚫린 흙집 뒤란 벽을 여러 날 손보고 있었다.

첫 작업은 고운 흙에 자른 짚과 약간의 시멘트를 섞어 반죽한 덩어를

기둥과 기둥 사이 가로로 대나무를 친 뼈대 사이로

착착 던져넣기를 닷새,

어제는 그 위에 조경현장에서 쓰이는 그물 같은 목천을 두드려 붙였고,

그 위로 황톳물을 고무장갑낀 손으로 발라두었더랬다.

오늘 드디어 마감재를 만들다.

어제 황토를 곱게 체 쳐서 물을 섞어 모기장으로 걸러 놓았다.

오늘 물을 따라내고 앙금으로 황토몰탈을 만든 것.

시멘트 몰탈 비율처럼 황토앙금1에 역시 곱게 체를 친 모래3을 섞고

삶은 우뭇가사리를 적당량 넣었다.

벌써 해가 진 멧골,

전등을 켜들고 황토몰탈을 붓으로 벽에 바르다.

색도 고왔다. 아무렴 황토인 걸.

날이 찼으나 추위를 잊을 만한 작업이었다.

이로서 흙집 바깥일은 끝났다 싶지만,

이 벽이 마르면 보온재 천을 둘러주려 한다.

 

사이집 남쪽마당 빨랫줄에 빨래 너는 즐거움이 크다.

오늘도 빨래를 널었더랬네.

학교의 부엌곳간을 정리하고 닦았고,

어제부터 닦던 가스렌지 후드, 오늘은 팬을 아예 피스를 풀어 내렸다.

기름때가 두터웠다.

모터를 피해 세제를 푼 물을 좀 뿌려두었다.

 

며칠 전 서로 흠씬 물어뜯었던 가습이와 제습이는

서로를 외면하고 있다.

오늘도 따로 산책을 시켰다,

가습이가 한사코 같이 하지 않겠다고 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946 2월 어른의 학교 닫는 날, 2020. 2.23.해날. 맑음 옥영경 2020-03-28 444
945 2023. 7.14.쇠날. 비 옥영경 2023-08-03 443
944 2021.12. 6.달날. 맑음 옥영경 2021-12-31 443
943 2020. 9. 2.물날. 태풍 마이삭 옥영경 2020-09-21 443
942 2022.11. 6(해날) ~ 9(물날). 맑고 흐리고 비 몇 방울, 그리고 개다. 아, 개기월식! / 설악산행 프로젝트 6차 옥영경 2022-11-28 442
941 2021.10.15.쇠날. 비 / 더하기 공사 이튿날 옥영경 2021-12-09 442
940 2021. 4.20.불날. 맑음 / 이레단식 회복식 이틀째 옥영경 2021-05-14 442
939 2020. 8. 6.나무날. 흐리다 소나기 몇 차례 옥영경 2020-08-13 442
938 여름 청계 닫는 날, 2023. 7.30.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5 441
937 2020.10.29.나무날. 맑음 / 용암사 운무대에서 본 일출 옥영경 2020-11-30 441
936 2020. 9.21.달날. 아주 가끔 구름 옥영경 2020-10-20 441
935 2023. 7.27.나무날. 소나기 / 뜬금없는 제사 이야기 옥영경 2023-08-05 440
934 2023. 6.28.물날. 맑음 옥영경 2023-07-31 440
933 2023. 7. 6.나무날. 맑음 / 트라우마가 미치는 영향이 남녀에게 다르다? 옥영경 2023-08-02 439
932 2021. 7. 8.나무날. 밤비 옥영경 2021-08-03 439
931 2021. 1. 4.달날. 해 옥영경 2021-01-19 439
» 2020.11.12.나무날. 맑음 / 우뭇가사리 옥영경 2020-12-16 438
929 2022. 9. 2.쇠날. 오후 가랑비 옥영경 2022-09-14 438
928 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옥영경 2021-12-09 438
927 2021. 3.16.불날. 도둑비 다녀간 아침 옥영경 2021-04-22 43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