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불날. 갬

조회 수 388 추천 수 0 2021.03.26 00:42:06


 

어제 종일 내리던 비는 새벽에 눈이 되었다.

일어나니 땅을 살짝 덮은 눈.

산 위에는 상고대가 눈 시렸다.

 

오후에는 본관 앞 꽃밭 앞을 긁다.

꽃밭을 구분 짓고 있는 울타리돌이 때깔 났다.

3월에는 꽃밭의 돌이며 흙이며 죄 긁어내려한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런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은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김훈의 <바다의 기별>에서 옮겼던 글을 생각했다.

이제 더는 슬퍼하지 않음이 슬프다거나 하는 글 자체의 의미보다

우선은 봄이기 때문이었고,

물론 문장의 아름다움 때문이었겠고,

다음은 마른 잎들 때문이었다.

먼 슬픔이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마치 지난여름 뜨거운 시간의 푸름들이 이 봄의 순들로 자리를 대체하는

그 순환이 아리게 다가왔던 듯도 하다.

떠나는 시간은 떠나게, 오는 시간은 그저 오게 하라,

말려도 떠나고 막아도 올 것이니.

 

3월은 달마다 셋째 주에 하는 물꼬주말수행(물꼬stay)도 마지막 주의 빈들모임도 없이 지나기로.

낮에는 노동하고 밤에는 글쓰기로.

마침 바깥수업도 없는 때라.

방문과 상담도, 위탁교육도 모두 4월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566 2006.12.26.불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45
5565 2006.12.27.물날. 푹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7-01-01 1257
5564 2006.12.28.나무날. 눈발 옥영경 2007-01-01 1285
5563 2006.12.29.쇠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89
5562 2006.12.30.흙날. 얼어서 흐려 보이는 하늘 / 11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02 1346
5561 115 계자 여는 날, 2006.12.31.해날. 맑음 옥영경 2007-01-03 1431
5560 115 계자 이튿날, 2007. 1. 1.달날. 흐림 옥영경 2007-01-04 1390
5559 115 계자 사흗날, 2007. 1. 2.불날. 반 흐림 옥영경 2007-01-05 1363
5558 115 계자 나흗날, 2007. 1. 3.물날. 는개 옥영경 2007-01-06 1417
5557 115 계자 닷샛날, 2007. 1. 4.나무날. 맑음 / 오뉘산 옥영경 2007-01-08 1425
5556 115 계자 닫는 날, 2006. 1. 5.쇠날. 꾸무럭대다 한밤에 눈발 옥영경 2007-01-09 1519
5555 2007. 1. 6.흙날. 눈, 눈 / 11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10 1313
5554 116 계자 여는 날, 2007. 1. 7.해날. 눈에 반사되는 햇볕 옥영경 2007-01-11 1532
5553 116 계자 이튿날, 2007.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07-01-12 1420
5552 116 계자 사흗날, 2007. 1. 9.불날. 반짝이는 눈밭의 햇살 옥영경 2007-01-14 1088
5551 116 계자 나흗날, 2007. 1.10.물날. 검은 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07-01-15 1469
5550 116 계자 닷샛날, 2007. 1.11.나무날 / 바우산 옥영경 2007-01-16 1840
5549 116 계자 닫는날, 2007. 1.12.쇠날. 흐려지는 저녁 옥영경 2007-01-16 1284
5548 2007. 1.13.흙날. 맑았다데요. 옥영경 2007-01-19 1155
5547 2007.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1-19 126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