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삼경, 고라니가 울부짖는다.

문 앞 언덕 아래까지 와서 부시럭대기도.

불빛이 있는데도 말이다.

문을 열고 소리를 지른다,

그들에게 놀이터를 내주자면 밭에서 먹을거리를 얻는 것을 포기해야 하니.

 

이레 단식수행을 하자면 그 앞으로 이레를 감식하고,

그 뒤로 이레를 복식(회복식) 한다.

12일부터 이레 밥을 끊으니 오늘부터 감식을 해나간다.

하루 세끼씩 따져 스무한 끼를 서서히 줄여갈 수도 있고,

세끼는 같은 양이되 하루씩 차츰 줄여갈 수도 있다.

앞의 방식은 계산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하니

대체로 뒤의 방식을 선택한다.

 

남도 어르신이 풋마늘김치며를 보내신다 연락이다.

마침 새 김치를 담지 못하고 있는 여러 날이었다.

이때면 풋마늘을 데쳐 무치기도 하고 장아찌도 담고 김치도 담는.

그렇게 또 이곳 손을 덜어주시네.

 

글 쓴다고 모든 시간이 글이 되지는 않는다.

빈둥거리다가 자정에야 앗!

그리고 아침 6시까지. 그 사이로 가끔 빈백에 몸을 묻기도 하고.

손가락 끝도 생각한다!

안 된다 안 된다 하면서도 그래도 나아는 간다.

410일 마감하자면, 이제 절반 남았고,

아니 정확하게는 여섯 장을 썼고, 네 장이 남았다.

장당 두 꼭지씩 열 장, 그러니까 스무 꼭지.

열두 꼭지를 썼고, 남은 날은 하루 한 장 두 꼭지씩 여덟 꼭지를 써야 하는.

하루는 남겨야 여는 글과 닫는 글을 쓸 수 있을 테고.

보내기 전날 전체를 훑어는 봐야지 않겠는지.

마침 마감키로 한 날이 흙날이라

해날 차를 달이고 사람들을 보낸 뒤 전체를 다시 읽고

출판사 출근 시간 맞춰 마감키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45 7월 8일, 그게 뭐가 중요해 옥영경 2004-07-15 1543
444 품앗이 최재희샘과 그의 언니네, 4월 17일 옥영경 2004-04-28 1544
443 11월 2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4-11-13 1544
442 127 계자 닷샛날, 2008. 8.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9-07 1544
441 2008. 2.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545
440 2008. 3.28.쇠날. 맑음 옥영경 2008-04-12 1546
439 129 계자 나흗날, 2009. 1. 7. 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22 1547
438 12월 7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10 1549
437 2007.11.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1-19 1549
436 2005.12.17-8. 밥알모임 / 무상교육에 대한 다른 이해 옥영경 2005-12-19 1550
435 2006.5.19.쇠날. 비 옥영경 2006-05-22 1551
434 2008. 1. 4.쇠날. 맑음 / 평마단식 강연 옥영경 2008-01-08 1551
433 6월 물꼬 들녘 옥영경 2004-07-11 1553
432 7월 마지막 한 주, 공동체 아이 류옥하다는 옥영경 2004-08-05 1553
431 2005.11.9.물날 / 49일 물구나무 서기 옥영경 2005-11-11 1554
430 2007.11.19.달날. 맑음 옥영경 2007-12-01 1555
429 6월 9일 물날, 일어 옥영경 2004-06-11 1556
428 125 계자 나흗날, 2008. 7.3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8-06 1557
427 147 계자 갈무리글(2011. 8.19.쇠날) 옥영경 2011-08-29 1557
426 2005.10.26.물날.흐림 / 새 식구 옥영경 2005-10-27 155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