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삼경, 고라니가 울부짖는다.

문 앞 언덕 아래까지 와서 부시럭대기도.

불빛이 있는데도 말이다.

문을 열고 소리를 지른다,

그들에게 놀이터를 내주자면 밭에서 먹을거리를 얻는 것을 포기해야 하니.

 

이레 단식수행을 하자면 그 앞으로 이레를 감식하고,

그 뒤로 이레를 복식(회복식) 한다.

12일부터 이레 밥을 끊으니 오늘부터 감식을 해나간다.

하루 세끼씩 따져 스무한 끼를 서서히 줄여갈 수도 있고,

세끼는 같은 양이되 하루씩 차츰 줄여갈 수도 있다.

앞의 방식은 계산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하니

대체로 뒤의 방식을 선택한다.

 

남도 어르신이 풋마늘김치며를 보내신다 연락이다.

마침 새 김치를 담지 못하고 있는 여러 날이었다.

이때면 풋마늘을 데쳐 무치기도 하고 장아찌도 담고 김치도 담는.

그렇게 또 이곳 손을 덜어주시네.

 

글 쓴다고 모든 시간이 글이 되지는 않는다.

빈둥거리다가 자정에야 앗!

그리고 아침 6시까지. 그 사이로 가끔 빈백에 몸을 묻기도 하고.

손가락 끝도 생각한다!

안 된다 안 된다 하면서도 그래도 나아는 간다.

410일 마감하자면, 이제 절반 남았고,

아니 정확하게는 여섯 장을 썼고, 네 장이 남았다.

장당 두 꼭지씩 열 장, 그러니까 스무 꼭지.

열두 꼭지를 썼고, 남은 날은 하루 한 장 두 꼭지씩 여덟 꼭지를 써야 하는.

하루는 남겨야 여는 글과 닫는 글을 쓸 수 있을 테고.

보내기 전날 전체를 훑어는 봐야지 않겠는지.

마침 마감키로 한 날이 흙날이라

해날 차를 달이고 사람들을 보낸 뒤 전체를 다시 읽고

출판사 출근 시간 맞춰 마감키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306 2023. 4.1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5-16 445
6305 2023. 4.16.해날. 흐림 옥영경 2023-05-13 398
6304 2023. 4.15.흙날. 지나는 비 옥영경 2023-05-13 415
6303 2023. 4.14.쇠날. 얼마쯤의 비 옥영경 2023-05-13 417
6302 2023. 4.13.나무날. 황사 덮친 하늘 옥영경 2023-05-12 448
6301 2023. 4.12.물날. 황사 덮힌 천지 옥영경 2023-05-11 369
6300 2023. 4.11.불날. 바람과 지나는 비와 옥영경 2023-05-09 475
6299 2023. 4.10.달날. 맑음 옥영경 2023-05-09 359
6298 2023. 4. 9.해날. 맑음 옥영경 2023-05-09 349
6297 2023. 4. 8.흙날. 달 휘영청 옥영경 2023-05-07 371
6296 2023. 4. 7.쇠날. 맑음 옥영경 2023-05-06 358
6295 2023. 4. 6.나무날. 비 옥영경 2023-05-04 381
6294 2023. 4. 5.물날. 비 옥영경 2023-05-03 644
6293 2023. 4. 4.불날. 흐리다 저녁비 / 말뚝 박기 옥영경 2023-05-03 506
6292 2023. 4. 3.달날. 맑음 옥영경 2023-05-02 349
6291 2023. 4. 2.해날. 맑음 / 푸코주의자 옥영경 2023-05-01 349
6290 2023. 4. 1.흙날. 맑음 / 대흥사-다산초당-백련사 옥영경 2023-04-30 478
6289 2023. 3.31.쇠날. 맑음 / 달마고도는 물꼬랑 인연이 깊다? 옥영경 2023-04-29 350
6288 2023. 3.30.나무날. 맑음 / 우리는 왜 잘하려 드는 걸까... 옥영경 2023-04-28 353
6287 2023. 3.29.물날. 맑음 / 남을 자꾸 때리는 아이 옥영경 2023-04-26 3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