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삼경, 고라니가 울부짖는다.

문 앞 언덕 아래까지 와서 부시럭대기도.

불빛이 있는데도 말이다.

문을 열고 소리를 지른다,

그들에게 놀이터를 내주자면 밭에서 먹을거리를 얻는 것을 포기해야 하니.

 

이레 단식수행을 하자면 그 앞으로 이레를 감식하고,

그 뒤로 이레를 복식(회복식) 한다.

12일부터 이레 밥을 끊으니 오늘부터 감식을 해나간다.

하루 세끼씩 따져 스무한 끼를 서서히 줄여갈 수도 있고,

세끼는 같은 양이되 하루씩 차츰 줄여갈 수도 있다.

앞의 방식은 계산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하니

대체로 뒤의 방식을 선택한다.

 

남도 어르신이 풋마늘김치며를 보내신다 연락이다.

마침 새 김치를 담지 못하고 있는 여러 날이었다.

이때면 풋마늘을 데쳐 무치기도 하고 장아찌도 담고 김치도 담는.

그렇게 또 이곳 손을 덜어주시네.

 

글 쓴다고 모든 시간이 글이 되지는 않는다.

빈둥거리다가 자정에야 앗!

그리고 아침 6시까지. 그 사이로 가끔 빈백에 몸을 묻기도 하고.

손가락 끝도 생각한다!

안 된다 안 된다 하면서도 그래도 나아는 간다.

410일 마감하자면, 이제 절반 남았고,

아니 정확하게는 여섯 장을 썼고, 네 장이 남았다.

장당 두 꼭지씩 열 장, 그러니까 스무 꼭지.

열두 꼭지를 썼고, 남은 날은 하루 한 장 두 꼭지씩 여덟 꼭지를 써야 하는.

하루는 남겨야 여는 글과 닫는 글을 쓸 수 있을 테고.

보내기 전날 전체를 훑어는 봐야지 않겠는지.

마침 마감키로 한 날이 흙날이라

해날 차를 달이고 사람들을 보낸 뒤 전체를 다시 읽고

출판사 출근 시간 맞춰 마감키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46 1월 25일 불날 눈, 101 계자 둘째 날 옥영경 2005-01-27 1464
445 1월 24일 달날 맑음, 101 계자 여는 날 옥영경 2005-01-26 1937
444 1월 23일 해날 자는 새 눈 내리다 옥영경 2005-01-25 1694
443 1월 22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1-25 1288
442 1월 21일 쇠날 맑음, 100 계자 소식-셋 옥영경 2005-01-25 1658
441 1월 21일 쇠날 맑음, 100 계자 소식-둘 옥영경 2005-01-25 1959
440 1월 20일 나무날, '아이골' 만들기 옥영경 2005-01-25 1491
439 1월 11일 불날, 기락샘 출국 옥영경 2005-01-25 1645
438 1월 19일 물날, 태국에서 돌아오다 옥영경 2005-01-25 1591
437 100 계자 여는 날, 1월 3일 달날 싸락눈 내릴 듯 말 듯 옥영경 2005-01-04 2228
436 1월 2일 해날 구름 조금 낌 옥영경 2005-01-03 1731
435 12월 31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494
434 2005년 1월 1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720
433 12월 30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334
432 12월 29일 물날 맑음 아침, 눈발 아주 잠깐 옥영경 2005-01-03 1383
431 12월 28일 불날 맑음 보름달 휘영청 옥영경 2005-01-03 1369
430 12월 26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236
429 12월 27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1-03 1293
428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둘 옥영경 2005-01-02 1238
427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셋 옥영경 2005-01-02 128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