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2.불날. 비

조회 수 335 추천 수 0 2021.12.08 22:15:30


 

비가 질기다. 가을장마다.

세상은 떠난 이가 산 사람들을 불러들였다.

죽은 이가 우리에게 건네는 가장 큰 마지막 선물이 그것일.

부고를 받은 물꼬 식구들이 서로 안부를 물었다.

 

학교 살림을 여며놓고

어둑해서야 대해리를 나섰다.

일산의 빈소로 간다.

초등 아이들이 자라 스물 중반에 이른 자매가 상주들이다.

물꼬의 품앗이로 또 논두렁으로 손발을 보태고 살림을 보탰다.

고인 또한 물꼬의 논두렁이었다.

그 엄마가 내 연배라는 게 더욱 짠했을 것이다.

그 여식들이 내 자식의 연배라 더욱 아팠을 것이다.

오랜 병상이었지만 세상을 떠난 소식은 언제나 뜻밖이다.

 

늘 장화로 사는 삶이다.

상복을 입고 나서니 장화가 걸린다.

읍내 시장에 들러 신발을 하나 사 신었다.

떠난 당신이 신발 하나 마련케 하고 가셨네.

영동역에 차를 두고 기차를 타고 가는 밤.

 

신발 보고 옥샘 오셨구나 했어요!”

빈소에 들었다가 식당으로 나오니

맞는 고인의 가족들에 물꼬의 인연들이 여럿이다.

신발 취향으로도 주인을 알만치 수년을 이어온 만남이었다.

수연, 태희, 다은, 도은들이 물꼬의 아이들이었고,

그 부모님들이 자매들이다.

질기지 않을 수 없는 우리들의 연이라.

 

새벽 3시에 이르고 있었다.

빈소가 있는 방에서는 어른들이, 식당에서는 상주의 친구들이 밤을 지키고 있었다.

어른들 주무시는데 이제 그만 조용해야 하는 거 아닌가...”

친구들이 왁자해서 어른들이 마음 쓰이던 상주 태희샘과 수연샘이었다.

아니야, 이런 날은 그러는 게 더 좋아.

내일 일정만 자세히 안내하고

일단 그대들도 눈을 좀 붙여.

특히 4시에 일어나야 한다는 거 거듭 확인시켜주고.”

그때 내 말을 듣고 있던 수연샘이 말했다.

, 소름, 물꼬인 줄 알았어!”

우리 모두 그 순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네.

특히 물꼬 계자 때면 우리는 수시로 모여 머리 맞대고 상황을 그리 확인코는 하지.

고마워라, 우리 지금 슬픔을 나누는 이 자리가.

깊은 물꼬의 인연들이었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65 1월 24일 달날 맑음, 101 계자 여는 날 옥영경 2005-01-26 1927
6464 11월 3일 물날 쪼금 흐림 옥영경 2004-11-13 1918
6463 8월 5-8일 이은영님 머물다 옥영경 2004-08-10 1912
6462 39 계자 열흘째 2월 4일 옥영경 2004-02-05 1912
6461 97 계자 네쨋날, 8월 12일 나무날 옥영경 2004-08-14 1911
6460 9월 16일, 바깥샘 도재모샘과 오태석샘 옥영경 2004-09-21 1909
6459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908
6458 박득현님 옥영경 2004-01-06 1902
6457 해맞이 타종식 옥영경 2004-01-01 1892
6456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73
6455 3월 21-2일 주말 옥영경 2004-03-24 1872
6454 학교 문 여는 날 무대 오르실 분들 옥영경 2004-03-24 1872
6453 가족 들살이 하다 옥영경 2004-02-20 1868
6452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68
6451 5월 5일, 우리들의 어린이날 옥영경 2004-05-07 1865
6450 9월 26-8일, 방문자 권호정님 옥영경 2004-09-28 1863
6449 2월 28-9일 : 영화 보다 옥영경 2004-03-04 1861
6448 97 계자 닷새째, 8월 13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08-15 1854
6447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53
6446 영동 봄길 나흘째, 2월 28일 옥영경 2004-02-29 184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