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조회 수 427 추천 수 0 2021.12.09 17:14:56


 

빳빳했던 고개들이 꺾여있었다.

초록의 기세는 한순간에 그리 무너졌다.

아침 6시 아직 어둑했지만 사물의 모습들은 선명했다.

영하 1도에 처참할 지경의 모습이었다.

수련이 살던 물항아리 표면에 살얼음이 얼었다. 첫얼음이다.

겨울이 시작되었다.

준비한다고 해도 뜻밖의 일이 되기 일쑤인 겨울인데 일러도 퍽 이르다.

 

오늘 설거지를 하며 더운물을 넉넉하게 썼다.

가마솥방 난로 위 주전자 물을 쓰는 건 기본이다.

그런데 그 물을 다 썼을 때도 순간온수기를 틀어 썼다.

꼭 영하로 떨어진 날씨 때문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온수기를 켜는 걸 아껴왔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에너지를 아끼고자 한 것이고, 결국 전기료를 아끼고자 한 것이며,

좀 더 적게 쓰고 살겠다는 건강한 지구인의 의지였던 셈인데,

웬만해서는 온수기를 틀지 않았다.

따져보면 따뜻한 물에서 설거지도 더 잘 된다.

세제를 쓸 일에도 따슨 물에서 더 잘 풀리고,

헹구는 것 역시 더 깔끔하게 되는.

찬물에 설거지를 할 때도 한 번씩 뜨거운 물로 그릇들을 부숴 소독을 했더랬다.

결국 더운물을 쓰고 마는.

그간 뭘 그렇게까지 아껴왔나. 그렇게 해서 남긴 게 무엇이었나.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별 소득도 없는 일이었다.

참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미련했다.

물꼬에는 그런 구석이 적잖다.

과한 게 문제이지!

편리를 적정 수준에서 지혜롭게 잘 쓰기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138 2007. 9. 1.흙날. 구멍 뚫린 하늘 옥영경 2007-09-23 1312
1137 2008. 3. 9.해날. 오후 조금 흐릿해지는 하늘 옥영경 2008-03-30 1312
1136 2011. 4.17.해날. 맑은 하늘에 달 둥실 옥영경 2011-04-28 1312
1135 2011. 6.22.물날. 마른 장맛비 / 모심을 받다 옥영경 2011-07-02 1312
1134 2011 겨울 청소년계자 여는 날, 2011.12.24.흙날. 눈 얇게 쌓인 아침 옥영경 2011-12-29 1312
1133 10월 17일, 아낌없이 주는 나무 옥영경 2004-10-28 1313
1132 10월 22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313
1131 99 계자 닫는 날, 10월 31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13 1313
1130 11월 5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313
1129 105 계자 여는 날, 8월 1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8-04 1313
1128 2005.12.5.달날.언 눈 / 섣달 잔치 첫날 옥영경 2005-12-07 1313
1127 2006.4.15.흙날. 흐림 옥영경 2006-04-18 1313
1126 2006.11. 9.나무날. 비 옥영경 2006-11-10 1313
1125 131 계자 닫는 날, 2009. 7.31.쇠날. 맑음 옥영경 2009-08-06 1313
1124 10월 몽당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09-11-07 1313
1123 2012. 2.29.물날. 맑음 옥영경 2012-03-07 1313
1122 2014학년도 겨울, 159 계자(2015.1.4~9) 갈무리글 옥영경 2015-01-14 1313
1121 10월 9-10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4-10-12 1314
1120 10월 13일, 교무실에 날아든 편지 옥영경 2004-10-28 1314
1119 2007. 9. 8-9.흙-해날. 개고 맑았지요 옥영경 2007-09-25 131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