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23.흙날. 맑음 / 찾았다!

조회 수 453 추천 수 0 2022.06.04 14:07:15


(이 날 기록을 당일에 했는데, 사라졌다.

4월은 여기저기 옮겨 다니느라 늘 쓰는 랩탑 말고도 다른 컴퓨터도 썼는데,

메일과 PC와 랩탑을 오가며 파일을 덮어씌우는 과정에서 누락이 된 듯.

아고, 좀 아까워라 했다. 어쨌든 시간을 투여한 거니까.

더구나 쓴 뒤는 대체로 잊는 경향이 커서, 그찮아도 잘 잊지만,

달포도 지나 다시 쓰자니 참...)

 

오늘 주인공은 버들치다.

벌써 여러 차례 물꼬에선 요새에 등장했던 그들이다.

열흘 전쯤 밥못의 물이 찰랑거려 바닥 수로로 빼다가

그만 버들치 세 마리 딸려 나와 퍼덕거렸다.

수문을 잠근 뒤 도랑에서 보았으니 어쩌면 쓸려 내려가 버린 것들도 있었을.

다음에 이럴 일이 있을 땐 수문관에 망을 씌워야지 했다.

그러나 아직 망을 챙기지 못한 채,

 

지난 17일 또 물을 뺄 일이 있었다.

수문용 밸브를 열었다.

조금만 열었다, 지난번처럼 버들치들이 딸려올지 모르니까.

(그게 압이 더 셌을 터이니 더 잘 빨려나왔을 수도)

! 작은 한 마리가 흘러나와 펄쩍 뛰는 걸 보았는데, 분명 보았는데,

밸브를 얼른 잠그고 찾아도 없었다. 아무리 찾아도 역시 없었다.

끝내 찾지 못했다. 바닥 물에 어떻게든 붙어있다 눈에 띄는 때를 기다려보자 했지만,

살아있을 수 있을까...

물론 다음에 물을 뺄 일이 있을 땐 수문용 관에 망을 대리라 결심, 또 결심!

 

연일 마음이 쓰였다.

풀을 매다가 밥을 먹다가 먼 하늘을 보다가 모퉁이를 돌다가 책을 읽다가도 문득문득.

그 사이 도랑의 물은 말라갔다. 버들치는 보이지 않았다.

오늘도 들여다보았다.

손바닥만 한 곳에 물이 겨우 잠겼는데, 돌 하나가 누르고 있었다.

그곳이 도랑에 남은 마지막 물이었다.

혹시나! ... 거기 어린 버들치가, 바로 그 버들치가...

살려주겠다고 찾았는데 그는 나를 믿지 못했다.

자꾸 손에서 빠져나갔다.

내가 섬기는 어떤 낱말도 그에게 닿지 못하고 있었다.

천년이 지나도 그가 사람의 언어로 말하는 날이 올 수는 없을 것 같다.

별 수 없이 오직 마음으로 마음으로 말한다.

겨우 잠잠해진 그를 밥못에 넣어주었다.

고맙다, 그의 삶을 지킬 수 있어.

아니, 그전에 그가 살아주어 고맙다

그리고 그는, 살면서 내가 잃어버렸던 모든 것이 되었다. 나는 그것들을 다 찾았다!

 

겨울들머리에 잡아둔 가족 상담을 끝냈다. 부디 도움 한줌이길.

부추김치를 담갔다.

빈들모임 일수행으로 달골 대문께 돌멩이들을 그러모아 버렸다.

대문께 울타리를 세운 뒤 남은 일이었다.

틈틈이 심었던 꽃모종들에 물을 주고.

밥상에는 두릅이 무침과 부침과 초절임으로 올랐다. 이 봄의 마지막 두릅찬이 될 듯.

그리고 광주에서는, 물꼬 아이였고 새끼일꾼이었으며 이제 품앗이이자 논두렁인,

그리고 별일이 없으면 학부모도 될 진주샘(과 규명샘)의 혼례가 있었다.

휘령샘 하다샘 희중샘이 사절로 갔고, 가람샘과 가온샘 형제가 축가를 불렀다.

물꼬랑 20년이 넘게 오가는 광주 성빈여사 인연들이 모이기도 했다.

희중샘이 '자유학교 물꼬' 이름으로 화환도 세워주었다.

늘 그리 몸과 마음을 쓰는 희중샘이라.

 

오늘은 책 원고의 남아있는 한 꼭지를 쓰려니 한 밤이지만,

일만 하고 그 고단이 눈꺼풀을 무겁게 누르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646 2024. 3.1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457
5645 2019.12.13.쇠날. 흐림 옥영경 2020-01-14 458
5644 2021. 6. 9.물날. 맑음 / 설악 소공원-비선대-마등령-나한봉-1275봉-나한봉-공룡능선-무너미고개-천불동계곡 옥영경 2021-07-07 458
5643 2021. 8. 5.나무날. 갬 / 신간 손에 오다; <다시 학교를 읽다> 옥영경 2021-08-12 458
5642 2021. 9.30.나무날. 맑음 / 설악에 깃들다·1 옥영경 2021-11-24 458
5641 2022. 9. 7.물날. 갬 / 그대들이 준 감동으로 또 하루가 간다 옥영경 2022-09-28 458
5640 2020.11. 6.쇠날. 해와 비가 번갈아 드는 옥영경 2020-12-03 459
5639 2020.12. 1.불날. 맑음 / 은행나무와 공룡과 같이 살았던 나무 옥영경 2020-12-24 459
5638 2021. 1. 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27 459
5637 2022. 1.15.흙날. 맑음 옥영경 2022-01-26 459
5636 2024. 3. 5.불날. 비 그치다 / 경칩, 그리고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24-03-27 459
5635 2020. 9.20.해날. 맑음 옥영경 2020-10-20 460
5634 2023. 3. 9.나무날. 맑음 / '어처구니없네' 옥영경 2023-03-29 460
5633 2020. 1.23.나무날. 비, 축축하게 옥영경 2020-03-02 461
5632 2021. 9.10.쇠날. 흐림 / 사이집 덧붙이 공사 시작 옥영경 2021-10-28 461
5631 2023. 2.15.물날. 맑음 / 회향 옥영경 2023-03-13 461
5630 2024. 2. 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61
5629 2020. 2.2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28 462
5628 2020. 8. 8.흙날. 비 / 16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0-08-13 462
5627 2021. 1.11.달날. 흐림 옥영경 2021-01-27 4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