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처음 서로를 만날 때를 보면 이름을 먼저 묻지 않는다.

나이를 꼭 따진다.

그래야 말을 시작할 수 있으니까, 그래야 친구가 될 수 있으니까.

쪼끄만 것들이 웃긴다고들 하는데, 그게 또 까닭이 있는.

그건 우리말의 높임말(동시에 호칭)과 깊은 관련이 있다.

나이를 알아야 부름말이 정해질 수 있으니까.

그게 결정 나야, 불러야 다음 말이 이어지니까.

언니!”하고 시작하거나 !”하고 시작하는.

친구네하면 반가워라 하기도 하고.

그런데 그때의 나이는 우리가 흔히 쓰는 세는 나이.

이게 만약 만으로 따질 일이면

오늘 생일이면 내일 나이가 달라지니까, 그러면 부름말도 달라지고,

복잡해진다.

그래서 세는 나이가 중요했던 거다.

아이들만이 아니라 어른들도 대체로 그렇다(요새는 또 그런 문화가 많이 달라지기도 했더라만).

우리말이 높임법이 발달되어 있으니 상대와 나의 관계에 따라 부름과 끝말이 달라지니까

상대의 나이가 궁금할 밖에.

만 나이로의 통일이 당선 대통령의 핵심 공약 하나였고, 법 개정이 한창이라는데,

,

실제 법적으로 196211일부터 통일이 돼 있다네.

민법에 보면 우리가 법적으로 다 만 나이란다.

우리 다 서류에 그렇게 쓰고 있지 않은가.

신분제가 있었을 땐 그 신분으로 높임말이 정해졌고,

이후 연령이 중요하게 되었을 텐데,

그냥 다 같이 서로 높임말 쓰면 되지.

아니면 말의 효율을 위해 반말도 좋겠음.

우리 사회 정서가 그걸 허용하기 그리 쉬워보이지는 않지만.

 

어제부터 기숙사 햇발동 옆 바위 축대에서 일하다.

축대 위쪽으로 풀을 낫으로 베고 정리하는 중.

소나무와 뽕나무가 가지가 겹쳐 있기

소나무 쪽으로 향한 뽕나무 가지들을 톱질하기도.

 

올해 내는 책의 원고 수정(1)으로 확보해놓은 한 주인데

이틀째 학교 터 관련 메일들을 붙잡고 있다.

하나를 써서 재활용하는 부분도 있지만

수신처가 다르니 그에 맞게 또 수정을 해야 하고

그 몇 줄 안 되는 수정이 쉽지만은 않은.

간밤에도 두 개의 메일을 쓰느라 날밤을 새고 아침녘에야 눈 붙였던.

이 밤도 메일을 하나 오래 썼고,

그리고

(서평집) 원고에 하나 더 추가하게 된 책, 그러니까 더하게 될 원고 한 꼭지를 위해

지금 텍스트로 쓰는 책을 다시 읽고 있는 중.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84 6월 9일 물날, 일어 옥영경 2004-06-11 1574
183 6월 8일 불날, 반딧불 반딧불 옥영경 2004-06-11 1684
182 6월 7일 달날, 한국화 옥영경 2004-06-11 1672
181 6월 7일, 성학이의 늦은 생일잔치 옥영경 2004-06-11 2023
180 6-8월 여름방학동안은 옥영경 2004-06-11 1672
179 6월 7일, 조릿대집으로 재입주 옥영경 2004-06-11 1510
178 6월 6일, 찔레꽃 방학을 끝내고 옥영경 2004-06-07 2109
177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565
176 "계자 94"를 마치고 - 하나 옥영경 2004-06-07 2000
175 찔레꽃 방학 중의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6-04 1967
174 5월 31일, 권유선샘 들어오다 옥영경 2004-06-04 2231
173 5월, 부엌에서 옥영경 2004-06-04 1574
172 5월 31일주, 들에서 옥영경 2004-06-04 1582
171 5월 29일, 거제도에서 온 꾸러미 옥영경 2004-05-31 2257
170 5월 29일-6월 6일, 찔레꽃 방학 옥영경 2004-05-31 1667
169 5월 28일, 봄학기 마지막 날 옥영경 2004-05-31 1517
168 5월 26일, 부처님 오신 날 옥영경 2004-05-31 1820
167 5월 27일, 손말 갈무리 옥영경 2004-05-31 1617
166 5월 25일 불날, 복분자 옥영경 2004-05-26 2011
165 5월 23일, 모내기와 아이들이 차린 가게 옥영경 2004-05-26 16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