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1.나무날. 살짝 비춘 해

조회 수 400 추천 수 0 2022.09.14 08:30:24


올해는 달골 오르는 길의 길섶은 풀을 베지 못했다.

달골 대문께에서 50미터 정도만이라도 훤하고 치고 싶었다.

오후에 예초기가 돌아갔다.

댑싸리비가 매우 잘 쓸렸다.

얼마 전 직접 키우고 만든 댑싸리 비를 들고 보은취회 식구 하나 다녀갔던.

낙엽을 쓰는 데 기가 막힐 거라더니 깎은 풀도 그러했다.

기계 들어온 김에 아침뜨락 너른 곳 두어 공간도 풀을 베다.

나머지는 다 손으로 하는 일이라.

꽃이 드러날 수 있게 풀을 뽑아주고,

고개가 무거워진 수국을 나뭇가지 꺾어 받쳐주고,

옴자 모양이 도드라지도록 가 쪽을 매고,

일전에 겨우 사람 지날 곳만 맸던 곳을 더 넓혀주고,

수로 파고 관 묻느라 들었던 괭이 쥔 김에 지난번 멧돼지 파헤친 구덩이를 이제야 메우고

지느러미길 경사지 아래 물길을 잡아주고,

밥못 위 개나리 울타리 너머 풀들을 잡아주고.

 

아침뜨락의 지느러미길 가 비탈 쪽으로 겨울에도 질 일 없는 꽃도 꽂았다.

글루건으로 허술해진 꽃술을 다시 붙이고, 꽃대를 잡아주고, 철사를 잘라내고.

170계자 뒤 남은 윤지윤(윤지샘 지윤샘)과 우리끼리계자 엿새를 하고 남은.

그때 잡은 예술활동이 꽃의 나라’, 페트병을 잘라 꽃 만들기.

지난겨울에도 아이들과 그리 놀았다.

그런데 한껏 저마다 핀 꽃 말고 한 무더기 같은 꽃을 만들고 싶었던.

그리하여 데이지 꽃밭이 되었더라.

여기도 표딱지 하나 붙여야겠네, 하하.


제목

데이지 꽃밭

학년

2학년 8반 박윤지, 3학년 1반 최지윤

제출

2022. 8.26.쇠날

지도교사

옥영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964 2022. 8.16.불날. 간간이 비, 그리고 개다 / ‘우리끼리 계자’ 나흗날 옥영경 2022-08-26 396
5963 2022.11.22.불날. 흐리다 띄엄띄엄 비 / 호일 두 조각 옥영경 2022-12-16 396
5962 2020. 9. 9.물날. 저녁 쏟아지는 비 / 사흘 수행 닫는 날 옥영경 2020-10-09 397
5961 2020.10.24.흙날. 맑음 / 민주지산 산오름 옥영경 2020-11-29 397
5960 2020.12. 6.해날. 맑음 / 인연이 인연을 불렀다 옥영경 2021-01-09 397
5959 2021. 1.10.해날. 해 옥영경 2021-01-27 397
5958 2021. 8.15.해날. 갬 옥영경 2021-08-27 397
5957 2020 여름 청계 닫는 날, 2020. 8. 2.해날. 정오 지나며 소나기 한 차례 옥영경 2020-08-13 398
5956 2020. 9. 6.해날. 비, 태풍 가까워지는 옥영경 2020-10-08 398
5955 2020.10.22.나무날. 젖어있다 갬 / 제도학교 특강 이튿날 옥영경 2020-11-25 398
5954 2020.12. 5.흙날. 흐림, 그래도 볕과 바람이 드나든 / 김장, 그리고 ‘씨 할 사람!’ 옥영경 2021-01-09 398
5953 2021. 5. 9.해날. 맑음 / 아카시아 꽃차 옥영경 2021-06-09 398
5952 2021.12.10.쇠날. 오전에 비, 오후 긋다 옥영경 2022-01-06 398
5951 2022. 3.22.불날. 맑음 / 물꼬의 영동 역사만도 26년 세월 옥영경 2022-04-22 398
5950 2022. 7. 2.흙날. 맑음 / 모른 체 해주는 아이들 옥영경 2022-07-28 398
5949 2020. 8.26.물날. 비 옥영경 2020-09-17 399
5948 2020.10.23.쇠날. 흐림, 상강 / 일단 책상에 가서 앉기 옥영경 2020-11-29 399
5947 2021. 4.28.물날. 뿌연하늘 옥영경 2021-05-27 399
5946 2021. 6.22.불날. 소나기 옥영경 2021-07-12 399
5945 2021. 8.16.달날. 갬 옥영경 2021-08-27 3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