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 3.불날. 맑음

조회 수 353 추천 수 0 2023.01.08 01:59:03


겨울90일수행은 계속된다.

事上磨鍊(사상마련), 일상 위에서 갈고 닦는 수행.

학교 뒤란의 눈을 치우고,

숨꼬방 앞 눈도 다 쓸어내고,

학교 뒤란 화목보일러의 불도 피우고.

 

낮에는

출판사 홍보를 도울, 그간 강연을 했던 곳들을 정리하여 보내고.

저녁에는 171계자 부모들과 통화.

물꼬를 여러 해 드나드는 가까운(?) 이들은 뒤편으로.

그간의 사는 이야기, 아이들 근황이 길 것이므로.

마지막 통화는 자정이 훌쩍 넘었다.

그래도 아직 닿지 않은 몇 댁.

내일 계속.

 

그믐날 책 한권을 받았다. 자서전이었다.

정치를 하는 이들이 일반적으로 출마 전 하는 출판,

그런 글 잘 읽지 않아왔다.

하지만 그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

학교터 문제로 여러 기관과 부대낄 때 맺은 인연 하나,

그가 궁금했다. 읽기 시작했다.

한 때 자서전 대필을 하며 밥을 벌었던 적이 있다.

이 글 역시 초고는 그가 쓰고 대필자가 있었을 수도.

그렇지만 그의 이야기일 것이었다.

또래였다. 그것은 적어도 사회적으로는 같은 사건들을 지나왔다는 뜻.

지금까지 남부끄럽지 않게 살아왔다고 자부한다.

내가 이렇게 살아온 것은 근면과 성실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을 알아 좋았다.

사람을 만나고, 알아가고, 우정을 쌓는 시간이 고마웠다.

뒤가 궁금하나 이제는 계자 뒤에 이어 읽기로.

 

아들이 오늘 통화하며 그랬다.

얼마 전 옛적 이야기를 하나 들려주었는데,

자기는 엄마에 대해 너무 모르더라고.

엄마 삶을 자서전으로 쓰면 좋겠다고. 허 참...

나는 그이 같은 자부심으로 쓸 수 있을 것인가.

없다. 그래서 쓸 수가 없다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45 2022. 3.11.쇠날. 흐림 옥영경 2022-04-04 358
444 2021. 6.29.불날. 맑음 옥영경 2021-07-26 358
443 2020.12.28.달날. 살짝 흐린 속 가끔 해 옥영경 2021-01-17 358
442 2020.12.16.물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58
441 2020.11. 7.흙날. 맑음 / 땔감 옥영경 2020-12-15 358
440 2020. 7. 2.나무날. 흐림 / 학교를 다시 묻는다 옥영경 2020-08-13 358
439 4월 빈들모임(2020. 4.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20-08-04 358
438 2023. 5. 3.물날. 맑음 옥영경 2023-06-08 357
437 4월 빈들 이튿날, 2023. 4.22.흙날. 맑음 옥영경 2023-05-29 357
436 2022.11. 5.흙날. 맑음 옥영경 2022-11-28 357
435 2022.10.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2-11-23 357
434 2022. 6.19.해날. 맑음 옥영경 2022-07-09 357
433 2022. 4.29.쇠날. 흐림 옥영경 2022-06-09 357
432 2021. 9.24.쇠날. 맑음 옥영경 2021-11-24 357
431 2021. 9.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11-21 357
430 2021. 8. 2.달날. 창대비와 억수비와 소나기 사이 옥영경 2021-08-12 357
429 2021. 3.28.해날. 갬 옥영경 2021-05-05 357
428 2023. 6. 7.물날. 맑음 옥영경 2023-07-20 356
427 2023. 5.20.흙날. 맑음 옥영경 2023-07-04 356
426 2023. 4.30.해날. 맑음 옥영경 2023-06-03 35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