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꺾이지 않으면

조회 수 932 추천 수 0 2003.03.31 00:55:00
< 왜 그들은 스스로 폭격 쏟아지는 바그다드로 향하는가 >

- 박노해의 바그다드 통신 가운데서 가려 옮김

지금 바그다드는 물론 국경 부근도 폭격이 계속되고 있는데,
죽음을 무릅쓰고 지하드(聖戰)의 길을 떠나는 이라크 젊은이들.
그러나 그들은 웃고 있었습니다.

무기와 군비에서 도대체 상대가 안 되는 이번 전쟁이지만,
그러나 미국은 이라크를 쉽게 이길 수 없으리라고.
여기 현장에서 보고 만나고 이야기 해 본 이라크인들과 아랍인들 누구도,
자신들이 끝내 미국을 물리치고 조국을 지키리라는 것에 대해
의심하고 동요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들은 솔직히 말해 후세인이 좋아서 나서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광신으로 전선에 나서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영혼의 분노이고, 뿌리 깊은 투혼이었습니다.
누구의 밑에서도 살 수 없고,
부당한 무기 앞에서는 결코 무릎 꿇지 않는 아랍인의 기질이
이들을 전쟁터로 나서게 한 것입니다.
자신의 인생과 가족의 삶을 지키기 위해,
그리고 저 찬연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후예라는 자긍심을 지키기 위해,
신 앞에 모두가 평등한 이슬람 정신의 부름으로,
자신들의 우애로운 삶과 희망을 위해 나선 것이었습니다.

지금 미국의 명분 없는 전쟁에 전 아랍인들은 무섭게 단결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전 세계 곳곳에서 반전 평화 운동의 어깨동무가
더 힘차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전쟁이 깊어갈수록 이라크인의 자신감과 투혼은 더 높아가고 있습니다.
여기 무잠마 바그다드에서는
폭격이 쏟아지는 바그다드로 떠나는 이라크 젊은이들의 행렬이
하루하루 늘어만 가고 있습니다.

전쟁도 사람이 하는 것입니다.
군대는 사기를 먹고 산다고 합니다.
아무리 첨단무기로 바그다드를 폭격하고
아무리 많은 돈으로 주변국을 끌어들여도
사람이 꺾이지 않으면, 사람의 정신이 꺾이지 않으면,
미국이 아니라 그 무엇도 이를 꺾지 못할 것입니다.
매년 10만 명의 아이들이 죽어 간 지난 12년간의 참혹한 경제 봉쇄 조치와
세 번의 전쟁과 폭격에도 굴하지 않는,
이 가난하고 떳떳한 이라크 사람들,
바그다드로 떠나는 그들을 지켜보며,
나는 여기에서,
우리 시대가 잃어버린 인간의 순수, 인간의 위엄, 인간 정신의 소생을 보고 있습니다.

http://www.nanum.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6889
345 4월 몽당계자 금요일날 아이들과 들어갈게요~ [1] 선아 2010-04-15 899
344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1] 송이 2010-03-04 899
343 잘~!도착했어요 [6] 연규 2010-02-21 899
342 2박3일 물꼬 나들이..... [4] 희중 2009-09-06 899
341 잘 도착하였습니다 [4] 홍선아 2009-08-15 899
340 저도착했어요 ㅎ [4] 김태훈 2009-08-14 899
339 [답글] 할 수 있어요.... [1] 계원엄마 2009-07-06 899
338 안녕하세요 기억하시련지..^^ [3] 우현재 2009-06-28 899
337 6.10 입니다, 유월이 오면 뭐한답니까... 우리 2009-06-10 899
336 내일이면 들어갑니다. [2] 장선진 2009-06-01 899
335 아들의 입을 통해 그려지는 물꼬? 어떤곳일까요? [1] 손희주맘 2009-01-29 899
334 하다님께.. [2] 민성재 2009-01-23 899
333 [답글] 129 계자 아이들 잘 들어왔습니다! 동규맘 2009-01-04 899
332 [답글] 옥샘,, 죄송해요 위에 올샘이라고 잘못 입력............ [1] 박윤지 2008-12-11 899
331 같이 읽고 싶은 책 - 십대, 지금 이 순간도 삶이다 file 이영미 2008-11-05 899
330 보고싶은 물꼬♡ [4] 석경이 2008-05-01 899
329 돌잔치 갑니다용! [2] 윤가야 2008-04-21 899
328 안녕하세요~ [1] 홍수연 2006-08-07 899
327 물꼬 두 돌 잔치 축하드립니다 김수상 2006-04-21 899
326 은영씨 보고 싶다 병준 엄마 2006-04-01 899
XE Login

OpenID Login